한동훈 "청년 세대 외면한 국민연금 개혁안…거부권 써야"
입력
수정
"청년 세대 고통 독박 안돼"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인구구조 등이 변했기 때문에 반드시 늦지 않게 국민연금 모수 규정을 개정해야 하지만, 그로 인한 고통을 청년세대에 독박 씌워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어렵게 합의한 것이란 말이 청년 착취, 청년 독박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여야를 비판했다.지난 20일 여야가 합의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에는 '보험료율(내는 돈) 13%·소득대체율(받는 돈) 43%' 및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군 복무·출산 크레디트(보험료를 납부한 것으로 인정하는 기간) 확대 등이 담겼다.
한 전 대표는 "언뜻 공평해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며 "머지않아 연금을 받는 86세대를 비롯한 기성세대보다 앞으로 돈을 낼 기간이 훨씬 긴 청년세대의 부담이 훨씬 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추후 또 바뀔 수 있다는 불확실성과 불안감도 돈을 낼 기간이 훨씬 긴 청년세대에 더 크게 돌아간다"고 말했다. 이번 개정안은 기금 고갈 시점을 늦췄을 뿐, 추가 연금개혁 부담은 미래 세대로 전가됐다는 지적이다.보혐료율은 2026년부터 8년간 매년 0.5%포인트씩 올려 13%까지 인상한다. 소득대체율은 40%에서 43%로 곧바로 높였다. 이에 대해 한 전 대표는 "내년부터 소득대체율을 곧장 43%로 인상하는 것도 문제"라며 "내야 할 돈은 천천히 올리고, 받을 돈만 즉시 올리면 내야 할 기간이 짧은 기성세대의 이득만 커진다"고 주장했다.
야당에 행태도 강하게 지적했다. 한 전 대표는 "당초 정부는 청년 세대를 생각해서 청년 세대와 기성세대의 보험료율을 차등 인상하는 방안을 준비했다"며 "개정안을 밀어붙인 민주당은 민주노총 편을 들어 청년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미래세대에 큰 부담을 지웠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연금을 지속하게 하는 사회적 합의에 금이 가고, 세대 갈등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며 "정치적 발언권이 약하다고 '강약약강(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하다)'하듯 청년세대에 독박 씌울 게 아니라, 아직 정치적 발언권이 약하기 때문에 청년 세대를 더 배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