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신입은 대체 어디 취업하나요"…'가성비' 중고 신입 채용하는 기업들
입력
수정
경기침체·정치불안 등 경영 환경 악화
올해 신규 채용 계획 수립 기업 60.8%
2022년 이후 최저치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최근 100인 이상 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60.8%로 나타났다. 2022년 조사 이후 최저치다. 기업들의 신규 채용 계획 응답률은 2022년 72.0%였으나 이듬해인 2023년 69.8%로 낮아졌고, 올해는 9%포인트 더 줄었다.
반면 중고신입 채용은 크게 늘었다. 경총 조사에서 신입 공채 때 ‘직무 관련 업무 경험’을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로 본다는 응답은 무려 81.6%에 달했다. 이런 경향은 최근 3년(2023년 58.4%→2024년 74.6%→2025년 81.6%)동안 급격히 증가했다.
중고신입 혹은 주니어 경력직 채용은 인공지능(AI)·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특히 많다. 전 세계적으로 AI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인력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전문성을 가진 AI 인재는 여전히 부족해서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신입·경력 채용을 7차례 진행했는데 이중 경력 2~4년 차 경력을 뽑는 '주니어 탤런트'를 포함한 경력직 채용은 4번이었다. 삼성전자도 2023년부터 경력 채용 대상을 4년 이상에서 2년 이상으로 풀을 확대했다.

업계는 취업 한파가 더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총 조사에 따르면 올해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고 판단하는 기업은 96.9%에 달했다. 1997년 외환위기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전망도 22.8%로 높았다.
이에 취준생들은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고, 채용 우대까지 받을 수 있는 각 기업의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에 몰리고 있다. 삼성은 1년간 매일 8시간씩 1600시간의 집중 교육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갖춘 개발자를 육성하는 삼성청년소프트웨어아카데미(SSAFY)를 운영 중이다. 1~10기 수료생 8000명 중 6700명(84%)이 취업에 성공했다.
LG는 청년 AI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LG 에이머스(Aimers)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직무 경험 제공 프로그램 청년 하이포(HY-Po)를 운영하고 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