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가야리·김해 봉황동…'잊혀진 왕국' 타임캡슐 열렸다

함안 가야리 유적 '집수지' 최초 발견
김해 봉황동 '옻칠 제기' 등 300여점 출토
가야·신라 유물 관리 위한 예담고 신설도
고구려와 백제, 신라의 각축전이 벌어진 시기를 삼국시대로 칭하곤 한다. 비슷한 시절 영남 일대에서 500여년간 번성한 또 다른 나라가 있다. 자체적인 문헌 기록이 없어서 삼국에 끼지 못한 왕국 가야다. 최근 경남 함안·김해 일대에서 관련 유물이 잇따라 출토되며 '잊혀진 왕국'의 베일이 벗겨지고 있다.
경남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현장 전경. /함안=안시욱 기자
경남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현장 전경. /함안=안시욱 기자
24일 찾은 경남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현장. 20m에 달하는 계단식 석조 배수로 주위로 유적지를 표시하는 흰색 실선이 표시돼 있었다. 부엽층과 사질층을 번갈아 쌓아 나무판자로 고정한 성벽이 배수로 양옆에 들어섰다. 460~548년 사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라가야 왕성 옛터 모습이다.

특히 눈에 띈 건 지름 9.7m의 원형 집수지다. 성안에 물을 모아 가두기 위한 시설로 약 2주 전 새롭게 발견됐다. 가야 유적에서 집수 시설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 지반 약 2m 아래까지 발굴된 상태다. 주변에선 짧은목항아리와 솥모양토기 등 생활유적이 출토됐다.
김해 봉황동 유적 출토 항아리 모양 목제품 출토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김해 봉황동 유적 출토 항아리 모양 목제품 출토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오춘영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장은 "집수지 하부엔 동식물의 유체와 각종 목제품 등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잠들어있다"며 "아라가야의 '타임캡슐'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아라가야의 토목공사 기술력이 돋보이는 유적"이라며 "가야의 역사를 기록한 '목간'이 최초로 발견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해 봉황동 유적 출토 추정 의례용 유물 일괄. /국가유산청 제공
김해 봉황동 유적 출토 추정 의례용 유물 일괄. /국가유산청 제공
이날 경남 창원 국립가야문화연구소에선 금관가야의 도읍지였던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최근 발견한 최고급 의례용 옻칠 제기 15점을 처음 공개했다. 1세기 변한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다. 오 소장은 "그동안 최고급 고분에서만 발견됐던 옻칠 제기가 생활유적에서 발견된 첫 사례"라면서 "봉황동 일대가 금관가야 왕족의 생활공간이었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굴된 유물들은 약 109㎡ 면적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됐다. 깊이 0.7m 안팎의 유기물층에서 옻칠 제기를 비롯한 300여점의 목제품이 무더기로 나왔다. 발굴지 일대에는 배수로 또는 도랑으로 사용된듯한 흔적이 남아 있다. 문화유산계에선 이곳에 대규모 취락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해 봉황동 유적 출토 옻칠 두형 그릇(桼豆) /국가유산청 제공
옻칠 두형 그릇을 주목할 만하다. 상단의 그릇과 아래쪽 굽다리가 일체형으로 이어진 제사용 그릇이다. 이번에 발굴된 유물의 목 부분의 지름은 1㎝로 기존 출토품에서 확인된 3~4㎝에 비해 얇고 정교하다. 오리나무를 물레에 고정해 회전하며 깎아낸 뒤 옻칠을 입힌 흔적이 보인다. 오 소장은 "오늘날 통용되는 오리나무 제기가 2000년 전부터 존재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가야시대 유적이 잇따라 발굴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하기 위한 시설도 신축됐다. 이날 개관한 영남권역 예담고가 그런 사례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함안 모곡터널을 재활용한 약 189m 길이 공간에 조성됐다. 예담고는 '옛것에 현재를 담는 공간'이란 의미다.

예담고는 비귀속 유물들을 관리하고 전시하기 위한 시설이다. 비귀속 유물은 발굴된 유물 중에서 국가 귀속유산으로 선정되지 않은 유물이다. 2023년 대전 사진포터널에 지어진 충청권역 예담고를 시작으로 호남권역, 해양권역, 영남권역 등 4곳에 들어섰다. 국가유산청은 2027년께 수도·강원권역 예담고를 신설할 계획이다.

영남권역 예담고는 가야와 신라 시대 유물 등 영남권에서 발굴된 1700여 상자의 출토품에 기반한 개방형 수장고를 운영한다. 이번 개관을 기념해 아라가야 주요 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는 특별전도 마련했다. 아라가야 궁성인 함안 가야리 유적, 아라가야 귀족 무덤인 함안 말이산 고분군, 아라가야 토기 가마터인 함안 우거리 유적 출토 유물 100여점을 전시한다.

함안·창원=안시욱 기자
24일 개관한 경남 함안 영남권역 예담고를 찾은 학생들이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함안=안시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