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과 시선이 완성한 바둑판 위의 사제 대결
입력
수정
김형주 감독의 영화 리뷰중년의 남자와 어린 청년이 바둑판을 가운데 두고 마주 앉는다. 중년의 남자 옆에 놓인 재떨이에 담배가 쌓여갈수록 둘을 바라보고 있는 군중의 표정이 복잡해진다. 어느 한쪽을 응원하지도, 패배를 바라지도 못하는 난감한 표정들. 시간이 흘러 승패가 좌우되는 듯한 순간이 다가오고 군중의 얼굴은 다시금 바뀐다. 난감했던 얼굴들에는 놀라움과 안타까움이 교차한다. 누가 이겼을까. 아니, 누가 진 것이었을까.
스승 조훈현 vs 제자 이창호
소리 없이 강한 천재들의 승부

그렇게 7년의 세월이 흐르고 17세가 된 창호는 39세의 조훈현과 마침내 프로 대 프로로 대결을 벌이게 된다. 창호가 이겨서는 안 되는, 그럼에도 물러설 것 같지도 않은 이 난감한 대국에서 창호는 스승 조훈현을 반집 차이로 이기고 모두를 경악케 한다.
김형주 감독은 전작 <보안관>에서 해고된 전직 경찰이 고향인 부산 기장에서 ‘보안관’을 자처하며 골목대장으로 살아가는 코믹한 이야기로 주목받았다. 잘 만들어진 코미디로 성공적인 데뷔를 했던 김형주 감독은 그의 장기인 코미디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심리 묘사가 두드러지는 드라마 영화 <승부>로 복귀했다.
<승부>는 조훈현과 이창호 각자의 삶 혹은 삶의 배경을 그리는 대신 이들이 만난 이후 서로에게 생기는 변화들, 즉 이들이 만나 바둑을 통해 성장하고 승패의 법칙을 통해 삶의 섭리를 익히게 되는 과정에 집중한다. 따라서 영화의 대부분은 조훈현과 이창호가 서로를 마주하고 집에서나 대국에서나 바둑을 두는 장면들로 채워진다.

다만, 동시에 이러한 지점은 영화의 약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국의 상황, 그리고 바둑을 훈련하는 장면들이 대부분 배우의 표정과 몸짓으로 전달되는 대신 실제 바둑판 위의 싸움, 즉 대결의 실제 상황과 설명이 대폭 생략되는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관객이 바둑 경기를 읽는 것을 어려워할 것이라고 판단한 감독의 선택 같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둑 영화에서 바둑 경기가 상세히 재현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미국의 금융위기를 그렸던 <빅쇼트>처럼 어려운 개념과 상황을 비주얼이나 상황극을 통해 영화적인 장치로 설명했다면 더 흥미로운 재현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
[영화 <승부> 공식 예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