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주지사, 韓 일정 하루 늘렸다…SK·포스코·한화·세아와 개별면담 추진
입력
수정
마이크 던리비 주지사, 24~26일 2박 3일로 방한 일정 확정
25일 산업부 등 정부 관계자 면담한 후 개별 기업 협상 추진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가 정부 부처를 비롯해 국내 에너지·철강 기업들과 개별 면담을 추진한다. 알래스카 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를 함께 할 파트너를 찾기 위해서다. 방한 일정을 당초보다 하루 더 늘린 것은 기업별 ‘핀셋 협상’을 통해 사업을 구체화하겠다는 구상에서다.
24일 외교가와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던리비 주지사는 이날부터 26일까지 3일간 한국에 체류한다. 당초 예정된 24~25일(1박 2일) 일정에서 하루 더 추가됐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통상·에너지 당국자들과는 25일 오후 면담하기로 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도 일정을 조율 중으로 전해진다.
정부 부처와의 면담을 마친 후엔 개발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과 연쇄 회동을 갖는다. 25일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주재로 만찬을 진행한 뒤, 26일엔 기업별로 1 대 1 면담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던리비는 앞서 워싱턴DC를 찾은 조현동 주미 한국대사에게 국내 기업들의 참여를 요청했다.
현재까지 면담 일정이 확정된 곳은 SK, 포스코, 세아그룹으로 파악된다. 한화그룹에도 면담을 타진해 조율 중이다. 각각 최고경영자(CEO) 등 고위급 경영진이 카운터 파트너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이미 미국에서 LNG 사업을 하고 있거나 개발-운송-공급으로 이어지는 LNG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SK는 SK이노베이션 E&S을 통해 미국에서 가스전 사업을 벌이고 있다. 포스코그룹에선 고급 강관 및 탱크용 강재를 생산하는 포스코, 민간 기업 최초로 대규모 가스전 개발 사업에 성공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있다. 강관 전문 기업인 세아제강은 과거 캐나다, 모잠비크, 카타르에서 LNG 프로젝트용 강관 수주에 성공한 이력이 있다. 한화오션은 1300㎞ 가스관을 놓기 위해 알래스카 얼음을 뚫을 쇄빙선을 만들 유력 업체로 꼽힌다.
기업들은 주지사로부터 직접 구체적인 사업 계획 설명을 듣고 다각도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혹독한 추위와 막대한 투자 부담으로 개발 난도가 높은 만큼 참여에 신중한 분위기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총 투자비만 64조원으로 추산되는 초대형 사업이다. 연중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 북극권 동토인 알래스카 노스슬로프 지역의 푸르도베이에서 난 천연가스를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날라 액화한 뒤 수요지로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하지은/김형규 기자 hazz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