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美 상무부, 상호관세 때 '韓 우호적 고려' 언급"

산업부, 24일 기자간담회 열어 방미 성과 소개
"일단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전제로 대비할 것"

미국이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미 상무부가 “상호관세에서 한국을 우호적으로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우리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번의 장관급 회담과 지속적인 실무협의를 통해 미국 역시 한미 간 실효관세율이 0%에 가깝다는 사실을 인지했다는 설명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2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안덕근 산업부 장관의 미국 방문 성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지난 20~21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연달아 면담했다.

이 관계자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이번 면담은 3주 전보다도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면서 “안 장관이 상무부 장관에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잘못된 사실관계를 설명했고 러트닉 장관은 최종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하겠지만 상무부 차원에선 우호적인 고려를 하겠다고 화답했다”고 말했다.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 이후 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에 대해선 “상호관세는 국가별로 다른 관세율을 부과하되 품목을 대상으론 동일한 관세율이 적용되는 구조일 것”이라며 “정부는 일단 상호관세가 부과된다는 것을 전제로 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 차원에서 품목별 지원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에선 민감국가 지정에 대한 조속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자는 데에 공감대를 모았다. 이 관계자는 “양국 장관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사를 확인했고 바로 다음날부터 관련해 실무 협의를 시작해 진행 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민감국가 지정 해제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와도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공동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아울러 “한미는 이번 회담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원전, 수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상 잠재력이 크다고 공감했다”면서 “향후 한미 장관급의 에너지 정책 대화를 비롯해 민관이 함께하는 에너지포럼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