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美 요구로 "엔비디아칩 흐름 통제 강화"
입력
수정
미국,싱가포르 통한 대중 우회 유입 차단위해 요구
엔비디아 싱가포르 매출 규모 비해 실제 선적은 적어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 타임즈에 따르면, 중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첨단 반도체를 면밀하게 감시하라고 미국이 요구함에 따라 말레이시아 무역부 장관은 엔비디아 칩 흐름을 엄격하게 통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 프룰 압둘 아지즈 투자무역사업부장관은 미국 정부가 말레이시아가 엔비디아 칩의 선적을 면밀히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아지즈 장관은 미국이 서버가 데이터 센터에 있어야 하고 갑자기 다른 배로 옮겨지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싱가포르 당국은 중국내 판매가 금지된 엔비디아 칩이 들어간 델테크놀로지와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서버들이 말레이시아로 운송된 사실과 관련된 3명을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 이들은 델테크놀로지와 슈퍼마이크로컴퓨터를 오도한 혐의를 받았다.
말레이시아 당국은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운송된 엔비디아 AI 칩과 관련된 사기 증거는 아직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첨단 기술 무역과 관련된 우려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싱가포르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만약 이들 서버에 중국 수출이 금지된 고성능 엔비디아 칩이 들어 있는 상태로 중국으로 운송됐다면 이는 미국의 무역 규정에 위반된다.
미국 정부는 AI 애플리케이션이 중국의 군사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로 중국에 대한 고성능 AI칩의 수출을 규제해왔다. 또 미국 관리들은 중국이 금지된 엔비디아 AI칩을 동남아시아 국가를 통해 우회해서 입수할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고성능 AI칩 수출 규제를 동남아시아와 중동 일부 국가로 확대했다.
싱가포르가 이 같은 감시의 초점이 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은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싱가포르에서 제3자를 통해 금지된 엔비디아 칩을 구매했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미국의 의원들은 싱가포르에서 엔비디아 매출의 상당 부분이 나오고 있음에도 싱가포르로 선적되는 엔비디아 제품의 물리적 선적이 비교적 적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제3국으로의 반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싱가포르와 엔비디아 측은 엔비디아 고객의 상당수가 싱가포르를 청구 장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소수의 물리적 엔비디아 배송만 받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