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병원 새병원, 대구 의료클러스터에 건립해야"
입력
수정
지면A24
이전 건립 용역 결과대구시의 의료클러스터 조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대구 중구에 있는 경북대병원 이전 건립을 위한 용역 결과 적합 판정을 받으면서다. 대구시는 지난 5일 지역 5개 군부대 이전지가 군위로 결정된 후 제2작전사령부 후적지(수성구 만촌동)에 의료클러스터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병상당 면적 국립대 중 최하위
경북대병원은 용역에서 병상 1350개 이상, 20만㎡ 이상 부지면적이 필요하며 대구시가 추진하는 대구의료클러스터 조성 사업 예정 부지인 제2작전사령부가 새 병원을 건립하기에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25일 발표했다.
대구 중구 삼덕동에 있는 경북대병원 본원은 최고 수준의 의료 인력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낙후한 시설과 좁은 병상당 면적, 부지 내 문화재에 따른 확장의 한계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경북대병원의 병상당 연면적과 부지면적 모두 전국 10개 국립대병원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3년 동안 시설 노후화로 유지관리비만 약 300억원이 들어 단순한 보수보다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했다.
경북대병원은 새 병원 건립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연구 용역을 진행했다. 건물 평균 연식이 45.2년이나 되는 데다 전국 10개 국립대병원 중 부지면적이 최하위 수준으로 진료 및 연구 공간 부족, 주차 공간 부족,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편의시설 부족 등 열악한 진료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체 설문조사에서도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87.5%가 병원 이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새 병원 건립 시 진료, 공공의료, 특화 전문진료, 연구 교육 분야 등 총 18개 영역에서 연평균 2887억원, 30년간 8조6601억원 규모의 사회적 편익을 얻을 것으로 추산된다. 예상 고용 유발효과는 건설 기간 9233명, 운영 기간 5만495명 등으로 지역 고용 창출과 대구·경북 권역 안전망 구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