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킬러 수능' 없다…"EBS서 50% 출제"
입력
수정
지면A2
작년 수능과 난이도 비슷할 듯오는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지난해에 이어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이 배제된다. 전체적인 시험 난이도는 ‘적정 난이도’라는 평가를 받은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국어·수학 '공통+선택과목' 유지
n수생·의대 정원 규모가 변수
한국교육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 계획’을 25일 발표했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이날 “학교 교육을 성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도록 문제를 출제하겠다”며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적정 수준의 변별력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수능은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수능 체제를 유지한다. 국어·수학·직업탐구는 ‘공통과목+선택과목’ 형태로 치러진다. 국어는 공통과목인 독서와 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또는 ‘언어와 매체’ 중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은 공통과목인 수학Ⅰ·Ⅱ 외에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한 과목을 골라야 한다. 사회·과학탐구는 17개 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선택하면 된다.
EBS 교재와 수능 연계율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영역과 과목별로 50% 수준을 유지한다. 문항을 그대로 반영하기보다는 주요 개념과 원리, 지문·그림·도표 등 자료를 변형하거나 재구성해 출제한다.
n수생 증가와 의대 정원 이슈는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n수생 증가와 의대 입시를 중심으로 한 최상위권 학생들의 경쟁 심화가 수능 난이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오 원장은 “n수생 증가를 이유로 난도를 높이면 재학생이 불리해질 수 있다”며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평가원은 수험생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고 적정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해 오는 6월 3일과 9월 3일 모의평가를 치를 예정이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