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 잡는다"…엠에이치에스, 수냉식 냉각 솔루션 'MACS' 개발
입력
수정
임종수 엠에이치에스 대표는 26일 "기존 냉각 솔루션은 대부분 공냉식 방식으로 제공됐지만 최근 AI 열풍으로 전력 소모가 급증하면서 수냉식으로의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며 "공냉식은 냉각할 수 있는 칩의 최대 발열량이 약 500W 수준인 반면 수냉식은 1㎾ 이상을 처리할 수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상용화된 수냉식 솔루션은 칩 직접 냉각, 후면도어 열교환기, 액침 냉각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공냉식 대비 부피가 커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엠에이치에스는 이를 보완하기 'MACS'라는 자체 수냉식 솔루션을 개발했다.
임 대표는 "MACS는 마이크로 채널을 사용해 열 저항을 줄이고 열교환 면적을 늘린 새로운 개념의 박판형 열교환 장치"라며 "MACS는 반도체 위에 부착하는 냉각 제품인 콜드플레이트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수냉식과 달리 여러 개의 물 흐르는 관을 분기시켜 열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 면적은 최대로 확보해 효율성을 대폭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임 대표는 "MACS 기술은 발열 면적이 작고 평평한 반도체 칩에 적용하기 유리하기 때문에 AI 반도체 시장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등 국내 AI 반도체 기업들과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또 MACS가 AI 반도체 시장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전제품, 자동차, 방산, 통신 장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AI 반도체 외에도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HL클레무브와, 바이오·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지멘스헬시니어스, 씨젠과 협업 중이다. 항공 분야에서는 휴니드테크놀러지스와 협력하고 있다.
임 대표는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어 현재 직원 15명 규모에서 올해 안에 30명으로 확장할 예정"이라며 "MACS를 엔비디아에 공급하는 것이 최대 목표"라고 말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