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치료 중단까지 고려"…생사고비 2월 28일 밤, 어땠길래

프란치스코 교황/사진=REUTERS
프란치스코 교황/사진=REUTERS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달 28일 밤, 생사의 갈림길에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교황 의료팀 팀장 세르조 알피에리 로마 제멜리 병원 외과과장은 25일(현지시간) 공개된 이탈리아 일간지 코리에델라세라와 인터뷰에서 "그날 밤이 가장 힘들었다"며 "절망적이었고, 우리는 그를 살릴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14일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양쪽 폐렴 치료를 받던 교황은 입원 2주째인 같은 달 28일 오후 갑작스럽게 상태가 악화했다. 교황은 기관지 경련과 함께 구토하며 두 차례 급성호흡부전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상황을 '절망적'이라고 언급했던 알피에리 과장은 교황 역시 "자신이 죽을 수도 있다는 걸 알았다"고 당시 상황을 돌아봤다. 알피에리 과장은 "그를 둘러싼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는 것을 처음 봤다"며 "모두가 그날 밤을 넘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입원했던 병원 앞에서 한 신자가 기도하고 있다./사진=AFP
프란치스코 교황이 입원했던 병원 앞에서 한 신자가 기도하고 있다./사진=AFP
앞서 알피에리 과장은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교황이 겪은 4차례의 호흡곤란 중 두 번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의료팀은 치료 포기와 장기 손상 위험을 감수하고 끝까지 병마와 싸울 것인지 갈림길에서 치료를 택했다. 알피에리 과장은 "우리는 여기서 치료를 중단하고 그를 편안하게 보내줄지, 아니면 모든 약물과 치료법을 동원해 최대한의 위험을 감수하며 치료를 계속할지 선택해야 했다"며 "결국 우리는 후자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교황에게 건강 관리 결정 권한을 위임받은 마시밀리아노 스트라페티 보좌관 역시 의료팀에게 "모든 걸 시도하자"며 "포기하지 말자"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피에리 과장은 "의료팀도 같은 마음이었다"고 말했다.

의료팀의 약물 치료 덕분에 교황의 폐 감염은 완화됐다. 위기를 넘긴 교황은 지난 23일 제멜리 병원에서 퇴원해 바티칸 거처인 산타 마르타의 집으로 돌아갔다. 의료팀은 완전한 회복을 위해 최소 두 달간 휴식과 재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교황의 입원 기간 그의 건강 상태 역시 외부에 공개됐다. 알피에리 과장은 "의료적 내용을 보좌관들에게 전달했고, 그들이 추가적인 정보를 더해 교황에게 승인받았다"며 "어떤 내용도 수정되거나 생략된 적이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교황은 처음부터 끝까지 진실을 알려달라고 요청했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솔직하게 공개하길 원했다"고 했다.

더불어 교황이 퇴원 직전 병원 발코니에서 신자들에게 인사하는 모습을 언급하며 "그분이 다시 교황으로 돌아온 순간이었다"며 "감동적이었다"고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사진=AP
교황은 퇴원했지만, 휴식을 취하기로 하면서 국빈 방문도 연기되고 있다.

버킹엄궁은 25일(현지시간) 성명에서 "국왕과 왕비의 교황청 국빈 방문이 상호 합의에 따라 연기됐다"며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더 긴 기간의 휴식과 재활이 이로울 것이라는 현재 의학적 권고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찰스 3세는 내달 7∼10일 이탈리아와 바티칸을 국빈 방문하고 그중 내달 8일에는 바티칸에서 교황과 만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찰스 3세의 이탈리아 국빈 방문은 변경된 일정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