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은 23만원, 해외여행 가면 170만원…"씀씀이가 달랐다"
입력
수정
컨슈머인사이트, 2월 국내·해외 여행 동향 분석
"국내 여행 시장 침체기 지속될 것 의미"
"해외여행 감소보다는 여행비 지출 축소 예상"
업계, 3월에는 국내 여행 수요 회복 예상

우리 국민의 국내 여행 외면 추세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여행은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이란 전망에 국내 관광업계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업계에선 정부의 내수 진작 및 국내 여행 활성화 정책이 국내 여행 수요 회복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6일 소비자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발표한 '2월 국내·국외 여행 동향 분석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은 62.5%로 2024년 11월 이후 6.8%포인트 하락한 뒤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해외여행 경험률은 35.4%로 지난 1년간 31~36%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여행에서 경비를 더 쓰겠다는 응답 역시 모두 감소했다. 국내 여행비를 더 쓰겠다는 응답 비율은 29.9%로 전년 동월(35.9%) 대비 6%포인트 감소했다. 해외여행은 35.1%로 전년 같은 달(42.9%)보다 7.8%포인트 감소했다. 국내외 여행에서 경비 절감에 나서고 있음을 나타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 여행 계획률이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여전히 하락세를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고, 침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 해외여행에서는 여행 감소보다는 여행비 지출 축소가 예상되고, 최저가 상품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국내 관광업계는 3월엔 국내 여행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1~2월은 동계 성수기로 해외여행 수요가 높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3월에는 정부의 국내 여행 활성화 정책으로 국내 여행객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정부와 국내 여행 플랫폼은 '여행가는 봄' 캠페인으로 교통과 숙박 할인 혜택 제공에 나섰다. 작년에는 '여행가는 달' 캠페인을 통해 6월 한 달간 국민 이동량은 2억3500만명, 여행지출액은 13조5400억원을 각각 기록한 바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국민 이동량과 여행지출액을 1% 이상 늘리는 것을 목표로, 이달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약 50만명을 대상으로 국민 여행경비 할인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관광협회중앙회와 함께 오는 27일부터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2025 내 나라 여행박람회'를 개최해 전국 각지의 매력을 담은 다양한 여행 정보와 관련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