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팔아도 빚 못 갚는다'…부채 고위험 가구 '39만' 육박
입력
수정
한국은행 발간 '금융 안전 상황' 보고서
"미분양 늘어난 지역, 고위험 가구 증가 가능성"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고위험 가구는 전체 금융 부채 보유 가구의 3.2%(38만6000가구)로 추정됐다.
고위험 가구란 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면서,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도 어려운 부채자산 비율(DTA) 100% 초과 가구를 가리킨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 원으로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고위험 가구 비율은 2023년(3.5%)보다는 하락했지만, 2017년부터 2024년까지의 장기 평균인 3.1%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은은 최근 지방 주택 가격의 하락세 등을 고려하면 수도권보다 지방의 고위험 가구 증가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추정했다. 한은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 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