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핸들 손 떼도 주행 가능 레벨2+, 양산차에 2년 뒤 도입"
입력
수정
지면A10
송창현 사장, 개발자 콘퍼런스
독자 개발 '아트리아AI' 첫 공개
자율주행 레벨2+ 구현 집중
"영상 100만개 학습에 120시간
3년 내로 24시간 단축 목표"
美 합작법인 모셔널 투자 확대
차량용 OS '플레오스 커넥트'
내년 2분기 양산차부터 적용

송 사장은 이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레벨2+를 적용하는 차량은 테슬라의 ‘풀 셀프 드라이빙(FSD)’ 정도다. 하지만 테슬라도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만 FSD를 팔고 있을 뿐 전면 적용은 아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위해 카메라와 레이더로 얻은 데이터를 AI 딥러닝(심층학습) 기술로 훈련시켜 자율주행 성능을 높이는 방식으로 목표에 다가선다는 계획이다. 이때 필요한 AI가 현대차그룹이 이날 공개한 독자 개발 자율주행 기술 ‘아트리아AI’다. 아트리아AI는 자동차에 달린 8메가 픽셀 카메라 8개와 레이더 1개로 도로 형상과 상황을 인식해 고정밀지도(HD맵) 없이도 작동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딥러닝 기술로 스스로 학습한다.
송 사장은 “자율주행 개발은 대규모 학습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현재 30초 영상 100만 개를 학습하는 데 120시간이 걸리는데, 3년 내로 24시간 내에 학습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의 투자를 늘리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함께 개발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레오스(Ploes)’를 공식 발표했다. 플레오스는 더 많다는 뜻의 라틴어 ‘Pleo’와 운영체제 약자인 ‘OS’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비전도 담겨 있다.
플레오스는 △차량용 운영체제(OS)인 플레오스 비히클OS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플레오스 커넥트 △차량용 앱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생태계인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 등으로 구성된다.
플레오스 비히클OS가 장착된 차량은 스마트폰이나 PC처럼 차량용 OS를 통해 주행성능, 편의기능, 안전사양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플레오스 커넥트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하는 앱과 콘텐츠를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플레오스 커넥트는 내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 적용되며 2030년까지 2000만 대가 넘는 차량에 들어갈 계획이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