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성디에스 "日 미쓰이 꺾고 세계 1위 될 것"
입력
수정
지면A14
기업탐방“3년 내 반도체 소재 시장에서 일본 기업을 꺾고 세계 1위에 오르겠습니다.”
최영식 대표의 '반도체 극일'
반도체 리드프레임 R&D 박차
기술 초격차로 글로벌 점유율↑
고부가 반도체 기판 사업도 속도
올 실적 두 자릿수 증가율이 목표
지난해 말 취임한 최영식 해성디에스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이 같은 회사 전략을 밝혔다. 해성디에스는 반도체 칩을 부착하는 금속기판인 ‘리드프레임’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반도체 칩과 주기판인 인쇄회로기판(PCB)을 연결하는 ‘반도체 기판’(서브스트레이트)도 제조한다.

◇세계 2위 업체의 도전
해성디에스의 주력 제품은 리드프레임으로 회사 매출의 72%를 차지한다. 국내 유일의 리드프레임 업체인 이 회사가 보유한 반도체 특허 및 디자인권 475건(지난해 말 기준) 중 42.5%인 202건이 리드프레임 관련 특허다. 다음으로 서브스트레이트(166건)가 많았고 기타 특허는 72건이었다.해성디에스는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리드프레임 시장에서 2위(시장 점유율 8%)를 달리고 있다. 세계 1위인 일본 미쓰이와의 점유율 격차는 1%포인트다. 3위권인 대만 CWTC(7%), 일본 신코(6%)와의 차이도 크지 않아 이들 4개 업체가 세계 ‘빅4’로 불린다.
최 대표는 “품질·매출 등 주요 지표에서 3년 내 세계 1위를 달성하는 게 1차 목표”라며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기술 초격차를 내는 데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성디에스는 이미 반도체 후공정을 간소화하는 ‘초박막 팔라듐’ 도금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리드프레임에 적용했다. 서브스트레이트 부문에서도 낚시 얼레 같은 릴을 연결하는 ‘릴투릴’ 방식을 도입했다. 이 방식을 쓰면 공정 간 이동 시간과 거리를 줄여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 회사는 이런 기술력을 활용해 서버나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기판인 ‘BGA 기판’을 생산한다. 리드프레임보다 두세 배 비싼 제품으로 기술 진입장벽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경쟁사로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등이 있다. 해성디에스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등에 BGA 기판을 공급하고 있다.
최 대표는 “개발한 기술을 알리기 위해 자동차 반도체 회사를 중심으로 고객사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성디에스는 현재 차량용 반도체 업체 중에 인피니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XP,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과 거래 중이다.
◇“올 매출 두 자릿수 증가”
최 대표는 “2분기부터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DDR5용 서브스트레이트를 출하해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율이 두 자릿수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확대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급격하게 커질 것”이라며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리드프레임 사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또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부가 표면처리 기술과 정밀 회로 구현 기술을 사전에 확보했다”며 “올해 글로벌 리드프레임 시장은 14% 정도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최 대표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그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반도체는 내연기관차의 각각 5배, 10배 정도”라며 “글로벌 자동체 반도체 회사를 대상으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증권업계는 이 회사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6320억원, 710억원으로 전망하며 “테슬라와 BMW, 벤츠의 친환경차 판매량이 실적 향방을 가르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현주 기자 hyunj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