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국내 첫 '46시리즈' 양산

차세대 배터리 경쟁서 우위 선점
오토바이·골프카트 소형차 공급
BMW·스텔란티스 납품 협의 중
삼성SDI가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지름 46㎜짜리 원통형 배터리 양산에 들어갔다. 기존 국내 배터리 3사 가운데 처음이다.

삼성SDI는 오토바이, 골프카트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들어가는 46파이(지름 46㎜) 배터리 생산을 시작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충청남도 천안공장에서 배터리 셀을 생산해 베트남 법인에서 모듈로 조립한 뒤 미국 고객사에 넘긴다. 삼성SDI 원통형 배터리의 높이는 95㎜로 ‘4695’ 모델로 불린다. LG에너지솔루션은 80㎜ 높이의 ‘4680’ 모델 양산을 앞두고 있다.

46파이는 기존 2170(지름 21㎜·높이 70㎜) 원통형 배터리보다 용량을 대폭 키운 제품이다. 부피 대비 에너지 밀도가 20% 이상 높은 게 특징이다. 원통형인 덕분에 배터리 사이사이에 가스가 빠져나갈 공간도 충분하다. 배터리 화재는 대개 배터리팩 내부에 가스가 차면서 폭발로 이어지는데 이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는 얘기다. 46파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배터리로 불린다.

업계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46파이 양산 스타트를 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삼성SDI가 한발 빠르게 ‘최초’ 타이틀을 가져갔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테슬라 등 고객사와 4680 배터리 스펙에 대한 최종 조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삼성SDI가 전기차보다 스펙이 낮은 마이크로 모빌리티용 배터리로 46파이 시대를 먼저 연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I가 노리는 다음 타깃은 전기차 회사다. BMW, 스텔란티스 등과 납품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전기차용 46파이를 누가 먼저, 더 많이 수주하느냐가 향후 배터리업계의 승부처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현재 2170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을 쓰고 있는 글로벌 전기차 회사들이 에너지 밀도가 높은 46파이로 갈아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46파이 배터리 시장은 올해 155GWh(기가와트시)에서 2030년 650GWh로 네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