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AI로 돈 번다"…작정한 이통3사, 기업 공략 '총력'
입력
수정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고도화
KT, 2028년까지 AX 매출 300%↑
LG유플, 구글과 3억달러 AI 사업

31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DC) 사업 개발에 주력하고 KT와 LG유플러스는 빅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AI 사업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SK텔레콤은 B2B뿐만 아니라 AI 부문을 데이터센터(DC), 소비자간거래(B2C) 등 총 세 갈래로 나눠 올해 관련 매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앞서 주총에서 AI 매출을 일으킬 방안으로 'AI 피라미드2.0' 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AI DC 영역을 크게 4가지로 세분화해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형 GPU(GPUaaS),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관련 시장을 공략한다.
SK텔레콤은 AI DC에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엔비디아의 블랙웰까지 도입할 예정이다. 유 대표는 "저희는 GPUaaS 쪽에 엔비디아 GPU H100이 이미 도입됐고 엔비디아 H200보다는 블랙웰의 효율성이 더 높은 것 같아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다"며 "수요에 대응해 도입할 예정으로 지금 주문하면 4개월 내 설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제조, 유통 등 다양한 기업 고객에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사내에 AX사업 최정예 조직인 AX 딜리버리 전문센터(가칭)를 출범하기도 했다. 이 조직은 MS와 협력하며 KT가 AI 기반 정보통신(AICT) 기업으로 사업구조를 전환하는 데 핵심 역할을 맡는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날 주총에서 "2028년까지 기업 대상 AI 전환(AX) 사업 매출을 2023년 대비 300% 성장시키겠다"며 "올해 기업 간 거래(B2B) AX, AI 기반의 통신기술(CT), 미디어 사업 혁신으로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를 달성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은 앞서 주총에서 "구글과의 협력을 통해 향후 3년간 3억달러 규모의 AI 사업을 진행해 유튜브 검색 연동을 활용한 글로벌 1위 서비스 경험을 익시오에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도 협력해 AX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 워크 에이전트, AICC(AI콜센터) 개발·AI 컨설팅을 추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기업들이 불편을 느끼는 점을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LG유플러스만의 AI 기술과 AX 전략으로는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시했다. AI 기술 자체보다 AI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집중하는 것으로 보안 부문을 개발 초반부터 고려해 개인화된 AI를 지원한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