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00% 늘린다"…자신감 넘치는 KT, AICT 전환 '집중'

AI·IT 시장 개척하는 KT
2028년까지 매출 300%
B2B AX, AICT 사업 집중
김영섭 KT 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제43기 정기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김영섭 KT 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제43기 정기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KT가 2028년까지 기업 대상 AI 전환(AX) 사업 매출을 2023년 대비 300%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KT가 통신 본업을 경시하고 있다는 질의에는 시설 투자 상당 부분을 유선사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31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3기 KT 정기 주주총회에서 'AX 사업 가속화 전략'을 공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AI와 IT 분야에서의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골자다.

KT는 MS와 산업별 한국적 AX 솔루션 공급을 추진하며 인공지능 기반 정보통신(AICT) 기업으로 전환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금융·게임 기업 등을 대상으로 AX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했다. 향후 제조·유통·IT·공공 등 다양한 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날 주총에서 "올해 기업간거래(B2B) AX, AI 기반의 CT(통신기술), 미디어 사업 혁신으로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를 달성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가속하겠다"며 "새로운 AI·IT 시장을 개척해 성장의 파이를 키우는 일, 인력 정예화, 경영체계 고도화 모두 중요 과제"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 발표한 AICT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공개하면서 MS와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했을 뿐 아니라 중장기 밸류업 계획으로 기업 가치도 향상했다는 설명이다.

정우진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장 전무는 AX 사업전략 발표에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AX 토탈 서비스 프로바이더' 계획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올해를 AX 사업의 도약을 알리는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B2B AX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KT의 기업가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취지다.

소수 노조인 KT 새노조 조합원들 일부가 주주 자격으로 통신 본업을 경시하는 것 아니냔 질문을 던지자 시설투자(캐펙스·CAPEX)의 상당 부분을 유선 사업에 집중하고 있고 서비스도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고 답했다.

부동산 등 저수익 자산을 과도하게 매각한다는 지적에 관해선 주가 부양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닌, 합리적인 기준 아래 정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KT는 이날 주총에서 제4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등을 의결했다.

사외이사로 전 현대자동차 차량 IT개발센터 센터장으로 일한 곽우영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청암상 기술상 선정위원과 김성철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이승훈 한국투자공사 운영위원회 민간 운영위원, 김용헌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를 재선임했다. 동시에 이들 중 곽우영 위원을 제외한 나머지 3인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건 등 총 5개 의안을 의결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