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올해 데이터센터 CPU시장 점유율 50% 급증 예상"

인텔, AMD CPU 대비 전력효율 높아
사진=REUTERS
사진=REUTERS
반도체설계업체인 암 홀딩스(ARM)는 데이터센터 중앙처리장치(CPU) 부문에서 자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15%에서 올해말 50%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암홀딩스는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데이터센터 CPU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같이 예측했다.

ARM의 CPU는 AI 컴퓨팅 시스템 내부의 "호스트" 칩으로 사용되면서 다른 AI칩에 대한 트래픽 컨트롤러 역할을 한다. 엔비디아의 경우 두 개의 블랙웰 칩이 포함한 일부 고급 AI 시스템에서 암 기반 칩인 그레이스를 사용한다.

ARM 기술은 대개 인텔이나 AMD가 만든 경쟁 제품보다 전력 소모량이 적다고 이 회사 인프라 책임자인 모하메드 아와드는 설명했다. AI 데이터 센터가 엄청난 양의 전기를 사용하면서 암의 칩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아와드는 데이터 센터 칩이 암의 지적 재산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덜 복잡한 칩보다 “훨씬 더 높은 총 로열티"를 받는다고 덧붙였다.

영국에 본사를 둔 ARM은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90%를 소유하고 있다. 칩 자체를 생산하지 않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 및 애플 엔비디아 같은 기업들이 노트북, 스마트폰, 데이터센터 프로세서용 칩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본 구성요소와 지적 재산을 판매한다.

이 회사는 자사 기술을 사용하는 라이선스 수입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판매된 각 칩에 대한 로열티를 받는다.

아마존닷컴은 지난 해 12월 ARM 기술을 사용해 자체 데이터 센터 CPU를 설계했으며, 이는 지난 2년간 추가한 칩 용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알파벳의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도 ARM 기반 데이터센터 칩을 만들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