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도 AI 에이전트 시장 참전…빅테크 경쟁 가속화
입력
수정
아마존이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 시장에 전격 참전했다. AI 시대 패권 경쟁이 생성형 AI에서 AI 에이전트로 빠르게 이동하며 빅테크 간 경쟁도 격화하는 양상이다.
아마존은 31일(현지시간) 일부 개발자를 대상으로 AI가 사용자의 별다른 명령 없이도 여러 작업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새로운 AI 모델 ‘노바 액트’를 공개했다. 웹사이트에서 스스로 쇼핑, 식당 예약, 문서 작성 등을 스스로 하는 AI 에이전트 모델이다. 아마존은 이번 모델이 최근 설립한 범용인공지능(AGI) 연구소에서 처음 개발한 AI 모델이라고 밝혔다.
이번 모델은 아마존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AI 제품군 ‘노바’의 한 종류다. 아마존은 앞서 이미지 및 영상 생성 AI 모델과 추론형 모델 등을 노바 제품군의 일원으로 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노바 액트와 기존 모델들의 가장 큰 차이는 AI의 자율성이 강화됐다는 점이다. 하나의 작업을 끝낼 때마다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할 필요없이 AI가 ‘스스로’ 업무를 해나간다.
최근 업그레이드된 아마존의 음성비서인 ‘알렉사 플러스’에도 탑재된다. 아마존은 지난 2월 알렉사 첫 출시로부터 11년만에 알렉사에 AI를 도입했다. 아마존은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AI 알렉사’를 앞세워 쇼핑 매출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자율성이 강화된 노바 액트는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빅테크 업체 간 AI 에이전트 개발 경쟁은 한층 더 격화할 전망이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1월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를 출시한 데 이어 2월에는 복잡한 연구 보고서 작성에 특화한 에이전트 ‘딥 리서치’를 내놨다. 아마존이 투자한 앤스로픽은 지난해 10월 AI에이전트가 스스로 웹 브라우징을 하는 ‘컴퓨터 유즈’라는 AI 에이전트를 내놓았다. 아마존은 이날 노바 액트가 스크린에 표시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테스트에서 오픈AI 및 앤스로픽의 에이전트를 능가했다고 주장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아마존은 31일(현지시간) 일부 개발자를 대상으로 AI가 사용자의 별다른 명령 없이도 여러 작업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새로운 AI 모델 ‘노바 액트’를 공개했다. 웹사이트에서 스스로 쇼핑, 식당 예약, 문서 작성 등을 스스로 하는 AI 에이전트 모델이다. 아마존은 이번 모델이 최근 설립한 범용인공지능(AGI) 연구소에서 처음 개발한 AI 모델이라고 밝혔다.
이번 모델은 아마존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AI 제품군 ‘노바’의 한 종류다. 아마존은 앞서 이미지 및 영상 생성 AI 모델과 추론형 모델 등을 노바 제품군의 일원으로 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노바 액트와 기존 모델들의 가장 큰 차이는 AI의 자율성이 강화됐다는 점이다. 하나의 작업을 끝낼 때마다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할 필요없이 AI가 ‘스스로’ 업무를 해나간다.
최근 업그레이드된 아마존의 음성비서인 ‘알렉사 플러스’에도 탑재된다. 아마존은 지난 2월 알렉사 첫 출시로부터 11년만에 알렉사에 AI를 도입했다. 아마존은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AI 알렉사’를 앞세워 쇼핑 매출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자율성이 강화된 노바 액트는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빅테크 업체 간 AI 에이전트 개발 경쟁은 한층 더 격화할 전망이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1월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를 출시한 데 이어 2월에는 복잡한 연구 보고서 작성에 특화한 에이전트 ‘딥 리서치’를 내놨다. 아마존이 투자한 앤스로픽은 지난해 10월 AI에이전트가 스스로 웹 브라우징을 하는 ‘컴퓨터 유즈’라는 AI 에이전트를 내놓았다. 아마존은 이날 노바 액트가 스크린에 표시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테스트에서 오픈AI 및 앤스로픽의 에이전트를 능가했다고 주장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