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팩트부터 틀린 이재명의 한화 경영권 승계 비판
입력
수정
지면A3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그제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를 비판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그는 “3조6000억원 유상증자 발표로 하루 만에 회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가 13% 하락했는데, 그룹 총수는 동반 급락한 모회사 지분을 자녀에게 증여한다”고 썼다. 한마디로 세금을 줄이려고 대규모 유상증자로 주가가 급락한 틈을 타 증여에 나섰다는 것이다.
기본적 사실관계부터 어긋난다. 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발표 다음 날(3월 21일) ㈜한화가 12.53% 하락한 것은 맞다. 그러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그제 발표한 ㈜한화 지분(11.32%) 증여 세금은 이날 주가 기준으로 매겨지지 않는다. 증여 개시일인 4월 30일 전후 각각 2개월인 3, 4, 5, 6월 평균 주가로 결정된다. 최근 3년간 2만~3만원대에 머물던 ㈜한화 주가는 지난달 5만원을 넘어설 만큼 급등했다. 절세만 생각한다면 이 시점에 증여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유상증자에 앞서 에어로스페이스는 김 회장의 첫째 아들 김동관 부회장이 지배하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7.3%)을 1조3000억원에 매입했다. 한화오션의 원활한 수주에 필요한 신용도 상향을 위한 조치라는 설명에도 경영권 승계를 위한 것 아니냐는 말들이 나왔다.
하지만 이번 증여로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억측임이 드러났다. 증권가가 우려하던 한화에너지와 ㈜한화의 합병 가능성도 사라졌다. 시장에서는 오히려 이번 증여로 한화의 승계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긍정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폭주 시대 우리나라가 가장 경쟁력 있는 분야로 꼽히는 조선과 방산을 갖춘 그룹이 한화다. 온 나라가 밀어줘도 부족할 판에 유력 정치인이 정상적인 투자금 마련과 승계까지 이렇게 꼬투리를 잡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이 대표는 한화 사례를 들어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적절치 않은 비유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어제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기본적 사실관계부터 어긋난다. 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발표 다음 날(3월 21일) ㈜한화가 12.53% 하락한 것은 맞다. 그러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그제 발표한 ㈜한화 지분(11.32%) 증여 세금은 이날 주가 기준으로 매겨지지 않는다. 증여 개시일인 4월 30일 전후 각각 2개월인 3, 4, 5, 6월 평균 주가로 결정된다. 최근 3년간 2만~3만원대에 머물던 ㈜한화 주가는 지난달 5만원을 넘어설 만큼 급등했다. 절세만 생각한다면 이 시점에 증여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유상증자에 앞서 에어로스페이스는 김 회장의 첫째 아들 김동관 부회장이 지배하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7.3%)을 1조3000억원에 매입했다. 한화오션의 원활한 수주에 필요한 신용도 상향을 위한 조치라는 설명에도 경영권 승계를 위한 것 아니냐는 말들이 나왔다.
하지만 이번 증여로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억측임이 드러났다. 증권가가 우려하던 한화에너지와 ㈜한화의 합병 가능성도 사라졌다. 시장에서는 오히려 이번 증여로 한화의 승계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긍정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폭주 시대 우리나라가 가장 경쟁력 있는 분야로 꼽히는 조선과 방산을 갖춘 그룹이 한화다. 온 나라가 밀어줘도 부족할 판에 유력 정치인이 정상적인 투자금 마련과 승계까지 이렇게 꼬투리를 잡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이 대표는 한화 사례를 들어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적절치 않은 비유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어제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