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적정공사비 산정기준 개발한다…"업계 현실화 요구 반영"
입력
수정
2일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비 산정기준은 정부가 매년 초 발표한다. 하지만 새로운 자재·공법 등 급변하는 건설환경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럴 땐 지방자치단체에서 산정기준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달부터 적정한 대가를 받지 못했던 12개 품목에 대한 공사비 산정기준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에서 요청한 7개 품목(에어컨 배관박스, 데크플레이트 슬리브, 덕트 슬리브, 열교환기 설치, 메탈히터 설치, 냉난방기 세척, 에어커튼 설치)과 한국전기공사협회에서 요청한 5개 품목(관통형 커넥터, 차광막, 가로등 암 교체, 소형 핸드홀, LED 조명등주)이 대상이다.
이 품목들의 공사비 산정기준이 마련되면 건설업계의 경영난에 일부 숨통이 트이고, 시공 품질이 향상될 전망이다. 안전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서울시는 개발된 산정기준이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 공식기준으로 등재해 공공기관과 민간 등에도 널리 확산시킬 계획이다.
서울시는 ‘건설장비 임대비용 보전(작업계수)’도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 전기공사 과정에서 건설장비를 사용할 때 장애물 등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작업계수로 일부 보전해주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갈수록 늘어나는 임대비용을 작업계수가 따라가지 못해 손해를 감수하고 있다.
앞으론 도심지 공사 여건의 어려움을 감안해 작업계수를 양호(0.9)에서 보통(0.7)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가로등 1개 설치 기준, 약 30%의 공사비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이혜경 서울시 재무국장은 “앞으로도 공사비 현실화를 통해 건설업계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