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순이도 안한 물질로 '폭싹 속았'던 이난영, 목포 소녀의 미국점령기

[arte]이준희의 점입가경(漸入歌景)-노래의 풍경 속으로

부른 가수 이난영
4월의 첫날,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지를 읽는 대신 이난영(李蘭影)의 노래를 들었다. 60년 전 4월에 마흔아홉 해 삶을 마감한, 곡절 많았던 그의 노래를 한참 동안 들었다. 귓가에 노래가 흐르니, 머릿속엔 상념이 핀다. 이난영은 과연 어떤 가수라 할 수 있을까. 가고 없는 그 사람을 어떻게 하면 좀 더 또렷이 그려 낼 수 있을까. '이난영 앞에 이난영 없고 이난영 뒤에 이난영 없다'는 실(實)없는 허(虛)언으로는 그를 제대로 알 수가 없다. 그러니 우선, 이난영이 만들고 남긴 분명한 기록들을 보자.

이난영은 무엇보다 <목포의 눈물>로 기억되는 가수다. 마침 목포에서 나고 자란 그였기에 딱 맞게 부른 <목포의 눈물>은 목포를 소재로 만들어진 첫 번째 조선 유행가였고, 지금껏 최고의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목포의 눈물>에 이어 <목포의 추억>, <목포는 항구다> 등도 이난영의 노래가 되었고, 그밖에 광복 이전 음반으로 발표된 그의 노래는 최소한 209편에 달한다. 이는 당시 활동 가수 가운데 단연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1935년 9월에 발매된 &lt;목포의 눈물&gt; 초판 음반 딱지 / 사진. ⓒ 이준희
1935년 9월에 발매된 &lt;목포의 눈물&gt; 초판 음반 딱지 / 사진. ⓒ 이준희
1932년 8월쯤 극단 태양극장에 입단하면서 연예 인생을 시작한 이난영은 1년 정도 지나서야 녹음 기회를 얻어 1933년 9월 태평(太平)레코드에서 첫 음반을 냈다. 그 뒤 바로 오케(Okeh)레코드 운영자 이철(李哲)에게 발탁되어 전속 가수가 되었고, 이후 만 10년 이상 줄곧 오케레코드의 간판으로 자리를 지켰다. 인기가 시시로 오르내리고 돈과 유혹이 어지럽게 오가는 무상한 연예계에서 그와 같이 꾸준한 가수는 다시 없었다. 1941년 3월에는 그런 이난영의 데뷔 10년 차를 기념해 특별 공연과 표창식이 열리기도 했는데, 이 또한 전무후무한 일이었다.

잡지 <삼천리>에서 1934년 11월부터 1935년 9월까지 구독자 대상으로 진행한 사상 최초의 가수 인기 투표에서는 이난영이 여가수 3위로 선정되었다. 다만, 투표 기간이 좀 더 연장되어 1935년 9월에 발표된 <목포의 눈물> 성과가 충분히 반영되었더라면, 결과는 아마 달라졌을 것이다. 1930~40년대 가수의 인기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로 또 들 수 있는 것이 자기 이름을 내건 '걸작집’ 음반의 발매 여부인데, 인기 투표 여가수 1위로 선정되었던 왕수복(王壽福)의 걸작집은 나온 바 없으나, 이난영은 1938년 11월에 걸작집을 발표했다. 여덟 명밖에 되지 않는 걸작집 가수 가운데 여가수로는 첫 번째, 남녀를 통틀어도 고복수(高福壽) 다음 두 번째로 걸작집 음반을 낸 이가 이난영이었다.
1938년 11월에 발매된 &lt;이난영 걸작집&gt; 가사지 표지 / 출처. 한국유성기음반
1938년 11월에 발매된 &lt;이난영 걸작집&gt; 가사지 표지 / 출처. 한국유성기음반
식민지 상황이었던 광복 이전에는 많은 가수들이 일본에서도 일본어 음반을 내곤 했다. 그 레퍼토리는 대개 <아리랑> 같은 조선 신민요이거나 이미 발표한 본인 히트작에 일본어 가사를 새로 붙인 곡이었고, 일부 가수는 더 나아가 일본 작가들의 신곡을 받아 녹음하기도 했다. 이난영은 오카 란코(岡蘭子)라는 별도 예명으로 <목포의 눈물>에 일본어 가사를 붙인 <別れの舟歌(이별의 뱃노래)>는 물론 일본 유명 작곡가 고가 마사오(古賀政男) 등의 작품을 1936~38년에 발표했는데, 일본 작가의 곡을 받을 수 있었던 가수는 당대 유행가의 '패왕(霸王)’이라 불렸던 채규엽(蔡奎燁)을 비롯해 이난영까지 여덟 명에 지나지 않는다.
1936년 7월에 일본에서 발매된 &lt;別れの舟歌(이별의 뱃노래)&gt; 가사지 / 사진. © 이준희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작 <목포의 눈물>로 인해 이난영은 오늘날 '트로트’ 가수로 통상 기억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의 노래 스펙트럼은 트로트 일색으로 단순하게 설명할 수가 없다. 이난영이 무명 시절 처음으로 무대에서 주목을 받았던 노래는 <도라지타령>이었고, 정식 데뷔 이후에도 많은 신민요 음반을 발표했다. 그중에는 '제주민요’ <별(別) 오돌독>(1934년 4월 발표), '신작 남해민요’ <이어도>(1935년 6월 발표) 같은 곡도 있었는데, 제주 노래를 음반에 담기는 이난영이 또 처음이었다. 그가 제주 관련 신민요를 누구보다 먼저 녹음한 데에는 1929년 2월에 보통학교를 중퇴한 뒤 2~3년 정도 제주도에서 생활했던 배경이 있다. 그때 이난영이 되기 전이었던 목포 소녀 옥례(玉禮)는 애순이도 하지 않은 물질까지 하며 그야말로 ‘폭싹 속았’다고 한다.

1930~40년대에는 트로트라는 말이 아직 사용되지 않았지만, 그 형식은 가장 중요한 대중가요 장르로 자리 잡고 있었다. 트로트와 함께 그에 버금가는 인기 장르로 신민요도 주목을 받았는데, 이난영은 두 분야를 모두 거뜬히 소화해 낸 가수였다. 나아가 세 번째 주요 장르로 꼽히는 '재즈송’에서도 이난영의 활약은 두드러진 편이어서,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는 <다방의 푸른 꿈>(1939년 11월 발표)은 1930년대 '조선 재즈’의 기념비 같은 노래로 평가된다. 1936년 4월에 김해송(金海松)과 함께 녹음한 번안 재즈송 <캐리오카(Carioca)>는 가사 1/3 정도를 영어로 부르기까지 했는데, 이 역시 이난영이 처음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복 이후에는 이난영의 신곡이 그 전처럼 많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의미 있는 기록들을 역시 살필 수 있다. 1947년 가을에 음반이 발매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봄버들>과 <님 생각>은 광복 이후 이난영의 첫 작품인 동시에 '국산’ 음반에 담긴 최초의 대중가요였다. 녹음까지는 서울에서 가능했지만 음반을 찍어 내는 작업은 모두 일본 공장에서 진행되었던 것이 광복 이전 상황이었고, 모든 음반 공정의 국산화는 1947년 8월이 되어서야 비로소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난영의 마지막 신곡으로 알려진 1949년 4월 발표작 <님이여 아옵소서>는 민족 해방을 위해 헌신한 지사들을 추모하는, 흔치 않은 대중가요로서 의미 있는 작품이다.
1949년 4월에 발매된 &lt;님이어 아옵소서&gt; 음반 딱지 / 사진. © 이준희
1940년대 초부터 1950년대 초까지는 이난영뿐만 아니라 다른 가수들도 음반 발표가 상대적으로 저조했는데, 태평양전쟁과 해방 후 분단, 그리고 6·25전쟁 등으로 음반산업이 많이 위축된 때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무렵 대중음악의 중심은 음반이 아닌 무대, 악극 또는 가극이라 불린 공연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이난영의 활동 역시 음반보다 무대에서 빛을 발하고 있었다. 1939년부터 1943년까지 그의 주 활동 무대는 오케레코드 연주단이 확대된 조선악극단이었고, 이난영은 조선악극단의 히로인이자 조선악극단의 마스코트로 인기가 높았던 퍼포먼스 그룹 저고리시스터즈의 리더였다. 그러한 이난영의 위상은 일본 관객들을 위해 1940년 2월에 간행된 홍보 책자 <조선악극단 제1집>의 표지 모델이 그였던 점에서도 확인된다.

광복 이후 1945년 11월부터 1950년 6월 전쟁 발발 전까지, 이난영은 조선악극단의 뒤를 잇는 전설적인 공연단체 K.P.K악단에서도 주연으로 활약했다. <다방의 푸른 꿈> 작곡자이자 1936년 크리스마스이브에 결혼한 남편이기도 했던, 무대 음악의 귀재 김해송이 이끈 단체였다. K.P.K악단 무대의 중추였던 이난영은 전에 없던 과감한 시도로 세간의 주목과 호평을 받기도 했으니, 바로 악극 남역(男役)에 도전한 것이었다. 머리카락을 짧게 치고 남장을 한 이난영은 여러 악극에서 남자 주인공을 맡았는데, 특히 1950년 4월 서울 시공관(현재 명동예술극장)에서 초연된 '오페레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인상적인 노래와 연기를 선보였다.
[좌] 저고리시스터즈 복장의 이난영이 모델로 나온 1940년 2월 간행 &lt;조선악극단 제1집&gt; 표지 / 사진. © 이준희 [우] 오페레타 &lt;로미오와 줄리엣&gt;에서의 줄리엣 역 심연옥(沈蓮玉, 위)과 로미오 역 이난영(아래) / 출처. 이난영 전집
1930~40년대 대중음악계를 음반과 무대 양면으로 석권했던 이난영은 또한 유례를 찾기 힘든 음악 가족의 핵심이기도 했다. 남편 김해송은 가수이자 연주가이자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였고, 오빠 이봉룡(李鳳龍) 또한 가수에서 시작해 연주가, 작곡가로 성장한 뒤 1960년대에 L.K.L레코드를 운영했다. 또 1950년 전쟁 중에 김해송이 납북된 뒤 심적으로나 물적으로 곤경에 처했던 이난영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던 후배 가수 남인수(南仁樹)는 1958년 가을부터 1962년 6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사실상 그의 두 번째 반려였다. 이난영과 김해송 사이에서 태어난 7남매도 모두 대중음악가로 성장했는데, 동시대 정상급 여성 가수 중 이난영처럼 많은 자녀를 출산한 이는 아마 없었을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많은 자녀들이 모두 음악 활동을 한 경우는 물론 이난영이 유일하다.

이난영 자녀들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성공을 거둔 이들은 셋째 숙자(叔子)와 넷째 애자(愛子), 그리고 이봉룡의 딸인 민자(民子)가 팀을 이룬 김시스터즈일 것이다. 10대 초반 어린 나이에 1952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무대에 서기 시작한 김시스터즈에게 이난영은 어머니이자 고모였을 뿐만 아니라, 스승이자 프로듀서이기도 했다. 뉴진스에게 민희진이 있다면, 김시스터즈에겐 이난영이 있었던 셈이다. 1959년 1월에 김시스터즈가 미국으로 진출하면서 이난영은 더 이상 그들 활동에 직접 관여할 수 없게 되었지만, 남인수 타계 이후 1962년 12월에는 스스로 미국으로 건너가 4년 만에 김시스터즈와 재회하고 그 성공을 확인했다. 약 여덟 달 동안 미국에 머문 이난영은 종종 김시스터즈와 함께 공연을 하고 텔레비전 쇼에도 출연했는데, 이로써 그는 과거 조선악극단 시절 일본과 중국 무대를 누볐던 것에 더해 미국 무대까지 섭렵한 최초의 한국 가수라는, 생애 마지막 대기록을 이루게 되었다.
1963년 6월, 미국 인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lt;에드 설리번 쇼(The Ed Sullivan Show)&gt;에 출연한 이난영과 김시스터즈 / 출처. 이난영 전집
김시스터즈의 뒤를 이어 1963년 12월에 아들 3형제 김보이즈까지 미국으로 보낸 뒤 고적한 나날을 보내던 이난영은, 1965년 삼일절 기념 공연에 출연해 <목포의 눈물>을 부르고 나서 한 달 남짓 지나 돌연 세상을 떠났다. 사람은 갔지만 그 노래와 추억은 또 남았기에, 1969년 6월에는 대중가요로서 처음으로 <목포의 눈물> 노래비가 고향 목포 시민들의 손으로 유달산에 세워졌고, 이난영 탄생 100년이었던 2016년 6월에는 CD 열 장 규모로 <이난영 전집>도 제작되었다. 팬들의 발의로 가수 사후에 대형 전집이 나온 경우는 이난영 외에 남인수와 배호(裴湖) 정도가 있을 뿐이다.

<이난영 전집>을 들으며 시작한 이 4월은, 그가 숱한 노래와 이야기를 남기고 간 지 꼭 한 갑자(甲子)가 지난 4월이다. 그리고 무수한 꽃들이 피고 또 지는 4월 11일은, 이난영의 기일이다.

이준희 대중문화 평론가

[ ♪ 이난영 - 목포의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