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정리 통폐합에, 지역 단위 금고 2년간 28개 줄었다

중앙회 "소비자 피해는 없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독자 생존 능력을 잃은 지역 새마을금고가 2년 동안 28곳 줄어들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실채권을 떠안고 인근 새마을금고에 합병하고 있다. 당장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융위기 등 돌발사태가 벌어지면 더 큰 충격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지역 새마을금고는 1265곳이다. 2022년 말 1293곳에서 2023년 말 1288곳으로 5곳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23곳이 문을 닫았다.

새마을금고는 2023년 7월 건전성 우려로 ‘뱅크런’ 사태를 빚은 뒤 재무 상태가 나빠진 지역 금고를 주변 금고에 합병하는 식으로 부실을 털어냈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PF 대출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자 금고 통폐합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소비자가 거래하던 금고가 합병돼 사라지더라도 피해를 보진 않는다고 새마을금고 측은 강조한다. 인수하는 우량 금고가 피인수 금고의 예금 등 채무를 모두 승계하고, 소멸 금고 점포도 존속 금고가 이름만 바꿔 운영하기 때문이다.

중앙회는 합병 과정에서 예금자보호준비금을 활용한다. 소멸 금고의 부실채권을 중앙회가 사들여 인수 금고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중앙회는 지난해 말 기준 소멸 금고에서 떠안은 채권을 2470억원어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말 1899억원 대비 30%가량 늘었다. 이 채권의 부실 발생에 대비해 쌓은 대손충당금은 663억원이었다. 약 3조원인 기금 규모에 비하면 아직 부담이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통폐합 방식의 부실 정리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피인수 금고의 인적 구성과 영업 환경 등 부실이 발생한 구조적 원인은 인수 금고가 그대로 떠안는다”며 “경기가 더 나빠지면 부실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