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선고까지 기다려보자"…등록 후 수업 꺼리는 의대생
입력
수정
지면A25
강경파 "수업 참여 4% 불과"의대생들의 복학 신청이 마무리됐지만 상당수 의대생이 수업에 참여하는 대신 ‘눈치 보기’를 이어가고 있다. ‘강경파’ 의대생을 중심으로 ‘등록 후 투쟁’을 공식화하는 상황에서 개별 행동을 하기 쉽지 않아서다. 이런 상황을 의식해 의대생 단체는 수업 참여 학생이 4%에 불과하다며 투쟁을 종용하는 반면 의대 총장 협의회에서는 이미 35% 이상 돌아온 학년도 있다고 반박했다.
대학들은 "정상화 보인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그동안 유일하게 미등록 방침을 고수해오던 인제대 의대생마저 등록을 결정하면서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학 신청을 했다. 하지만 대학 강의실에는 여전히 빈자리가 많다.
강경파 의대생이 주도하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이날 ‘등록 후 투쟁’을 공식화했다. 의대협은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강경파 내부에선 “4일 탄핵 선고 이후 상황을 지켜본 뒤 행동해도 늦지 않다”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대학 측은 의대생의 ‘단일대오’는 무너지고, 개별 단위 수업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양오봉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은 “의대 고학년을 중심으로 수업 참여가 늘고 있으며, 다음주 정도엔 저학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대학별, 학년별로 다르지만 (의대 정원이 많은) 지역 거점 대학 중에선 한 학년에 35% 이상이 수업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양 회장은 “수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절반을 넘어서는 것이 중요한데, 그 능선을 넘기 직전”이라고 덧붙였다.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계속될 경우 집단 유급은 물론 제적까지 이어질 수 있다. 학칙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가 수업 일수의 4분의 1 이상 무단결석할 경우 F학점을 주고, 한 과목이라도 F학점을 받으면 유급된다. 순천향대, 건양대, 을지대 등 일부 대학은 학칙이 더 엄격해 한 달 이상 무단결석 시 바로 제적 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대학들은 수업 정상화를 위해 다음주까지는 학사 일정을 유연하게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한 지방 의대 관계자는 “많은 학생이 정상적으로 수업을 듣기 시작한 시점부터 출결을 집계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고재연/이미경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