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규모 사업장에 화재 대응체계…외국인 노동자도 ‘안전망’
입력
수정
경기도가 소규모 사업장과 화재 위험이 높은 업종을 대상으로 화재 예방 및 중대재해 대응체계 구축에 나선다. 외국인 노동자 안전도 이번 지원책에 포함됐다.
경기도는 이달부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및 전지 제조업 등 화재 위험이 큰 현장을 대상으로 ‘화재피해 예방 등 중대재해 대응체계 구축 지원’ 사업을 새롭게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화성시 서신면의 공장 화재를 계기로,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 취약성과 외국인 노동자 보호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마련됐다.
경기도는 총 1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화재피해 예방 물품 지원 △안전매뉴얼 제작 및 다국어 번역 △홍보물 제작·배포 등을 추진한다.
도내 약 200개 사업장에는 피난 유도선, 비상구 표지판 등 기초적인 안전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교육도 병행한다. 또한 낙상·끼임·충돌 등 산업재해가 빈번한 3개 업종을 선정해 위험요인과 대책, 비상조치 등을 담은 맞춤형 안전매뉴얼을 제작한다. 이 매뉴얼은 전자책(e-book)과 카드뉴스 형식으로 구성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가 다수 근무하는 사업장의 경우, 제작된 안전매뉴얼을 다양한 언어로 번역해 노동자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뉴얼은 외국인 커뮤니티와 협업해 온라인으로도 배포된다.
임용규 경기도 노동안전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소규모 사업장의 화재 위험을 줄이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
경기도는 이달부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및 전지 제조업 등 화재 위험이 큰 현장을 대상으로 ‘화재피해 예방 등 중대재해 대응체계 구축 지원’ 사업을 새롭게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화성시 서신면의 공장 화재를 계기로,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 취약성과 외국인 노동자 보호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마련됐다.
경기도는 총 1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화재피해 예방 물품 지원 △안전매뉴얼 제작 및 다국어 번역 △홍보물 제작·배포 등을 추진한다.
도내 약 200개 사업장에는 피난 유도선, 비상구 표지판 등 기초적인 안전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교육도 병행한다. 또한 낙상·끼임·충돌 등 산업재해가 빈번한 3개 업종을 선정해 위험요인과 대책, 비상조치 등을 담은 맞춤형 안전매뉴얼을 제작한다. 이 매뉴얼은 전자책(e-book)과 카드뉴스 형식으로 구성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가 다수 근무하는 사업장의 경우, 제작된 안전매뉴얼을 다양한 언어로 번역해 노동자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뉴얼은 외국인 커뮤니티와 협업해 온라인으로도 배포된다.
임용규 경기도 노동안전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소규모 사업장의 화재 위험을 줄이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