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朴탄핵땐 '화합' 외쳤는데…尹선고땐 끝까지 '장외여론전'
입력
수정
지면A8
탄핵선고 전날, 8년 전과 딴판
朴 탄핵 전날엔 여야 '승복' 약속
국회 차원 국민통합 방안도 논의
이번엔 막판까지 '총력 투쟁'
與 "헌재, 기각은 역사적 책무"
野 "헌법파괴범 尹 파면 믿어"
李 "尹 계엄 때 1만명 학살계획"
尹측 "터무니없는 허위 사실"


이는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전날 차분했던 모습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당시에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여야 중진 의원들을 한자리에 불러 헌재 결정에 승복하자는 데 의견을 모으고 국민 통합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엔 국회 차원의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메시지가 나오지 않았다. 여야 지도부는 4일 국회에서 TV로 헌재 선고를 지켜볼 예정이다.
◇與 “헌재, 기각·각하가 순리”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오전 영남권 산불 피해 성금 전달식과 피해 대책 마련을 위한 당정 협의회를 연달아 열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헌재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판결을 내려야만 판결 이후 갈등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재판관들이 법리와 원칙, 양심에 따라 올바른 판결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지도부 차원에서는 헌재 압박을 자제했지만, 개별 의원들은 압박을 멈추지 않았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헌재 앞 밤샘 릴레이 농성에서 “법과 원칙, 법관의 양심에 따라 판단하면 당연히 탄핵안은 각하되거나 기각되는 게 순리고, 그것이 역사적 책무”라고 했다. 같은 당 김석기 의원은 “헌재가 각하 또는 기각으로 대한민국이 법치 국가임을 세계에 널리 알려달라”고 주장했다.
여권 잠재 대선주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국회 본회의 현안 질의에 출석해 심우정 검찰총장 딸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한 야당 의원의 질의에 답변했을 뿐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SNS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메시지만 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SNS에 “탄핵 기각을 예측해본다”고 썼다.
◇李 “尹, 계엄 통해 군정 꿈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다. 오후에는 국회 본회의에 참석했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추념식 후 기자들과 만나 “제주 4·3 계엄에 의한 국민 학살이 단죄되지 못해 1980년 5월 계엄령에 의한 국민 학살이 이어졌고, 그에 대한 책임 역시 완벽하게 묻지 못해 (윤 대통령이) 12·3 계엄에 의해 군정을 꿈꾸는 황당무계한 일이 일어났다”고 했다.이어 “12·3 친위 군사 쿠데타 계획에는 5000∼1만 명의 국민을 학살하려던 계획이 들어 있다”며 “자신의 안위와 하잘것없는 명예, 권력을 위해 수천, 수만 개의 우주를 말살하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지난 1월 국회 본회의에서 일방 처리했지만 재의요구권(거부권)이 행사돼 폐기된 ‘국가범죄시효특례법’을 재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터무니없는 허위 사실이며 극단적인 선동과 선전”이라며 “이 대표가 이성을 완전히 잃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날 저녁 헌재 인근 안국역 앞에서 야 5당과 함께 윤 대통령 파면을 요구하는 대규모 장외 집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박찬대 원내대표 등 민주당 의원이 대거 참석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헌재가 헌법 파괴범 윤석열을 주저 없이 파면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민주당 내 대권 주자인 김동연 경기지사는 SNS에 “윤석열이 내일 반드시 탄핵돼야 한다”고 했다.
한재영/최해련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