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12년 만에 이런 비수기는 처음"…헌재 인근 '올스톱' [현장+]
입력
수정
지난 3일 서울 종로구 한 한식당 업주는 이 같이 말했다. 이 식당은 헌법재판소 인근에 위치했다. 주인 김모 씨(56)는 “헌재에서 어떤 판단을 내리건 당분간은 영업이 어려울 것 같아 휴업 고민 중”이라며 “일단 내일(4일)은 가게 문을 닫기로 했다”고 말다. 그는 “4월은 어떻게 버틸지, 월세는 낼 수 있을지 고민”이라며 하소연했다.
안국역 인근에 위치한 우체국과 식당, 카페 창문에는 '4일 임시 휴업'을 안내하는 공지가 붙었다. 한 은행은 안전사고를 대비해 출입구 양옆 창문에 '출입 금지' 테이프를 붙여둔 모습이었다.
상인들은 선고 당일 안국역 전 출입구가 폐쇄되고 헌재 주변 기업들도 재택근무를 실시하면서 유동 인구가 줄어들 것을 고려해 휴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영업을 결정한 상인들도 상황에 따라 조기에 영업을 종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안국역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박모 씨는 "안국역 출입구가 전부 폐쇄되니 영업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보상은 받을 수 있을지, 가게는 안전할지 걱정“이라고 했다.
선고 당일 문을 열기로 결정한 식당들도 걱정은 있다. 근처 백반집 직원은 지난 3일 “사장님이 혹시라도 위험한 상황이 되면 바로 장사를 접자고 했지만 그렇게 빨리 대처가 되겠느냐. 신랑과 가족들이 출근하지 말라고 말리는데 고민이 된다”고 걱정했다.
지자체들은 영업 피해를 겪고 있는 관내 소상공인 구제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종로구는 관내 식당·한복대여점·카페·주점 등 50여곳의 ‘표본 상점’을 대상으로 올 3월 매출과 지난해 3월 매출을 비교 조사한 자료를 공개했는데, 조사 결과 표본 상점 대부분이 전년 대비 50%가량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이 주고객인 한복대여점과 기념품점 등은 80%까지 매출이 감소했다. 일부 상점은 “폐업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