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1위 하면 대통령 당선된다?…대선 통계 살펴보니 [신현보의 딥데이터]
입력
수정
尹 파면으로 조기 대선 약 60일 후로
대선 두 달 전 1위가 대권 가능성 높아
과거 7번 중 5번, 1위가 대통령 당선
李, 지난 대선서 두 달 전 1위였다가
尹이 추월…사법리스크·與 후보 '변수'

◇ 7번 중 5번, 두 달 전 1위가 대통령 됐다
4일 한경닷컴이 14대 대선 후 치러진 7번의 대선을 분석한 결과, 대선 약 60일 전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한 후보가 대통령이 된 경우는 5번에 달했다. 확률로 따지면 71%다. 직선제가 도입된 후 처음 치러진 13대 대선은 여론조사가 국내 정착되기 전이어서 분석에서 제외했다.14대 김영삼 전 대통령, 15대 김대중 전 대통령, 17대 이명박 전 대통령, 18대 박근혜 전 대통령, 19대 문재인 전 대통령은 모두 대선 두 달 전 1위 후보였다. 예외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윤 전 대통령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대선 두 달 전만 해도 3위에 이름을 올릴 정도였고, 윤 전 대통령은 대선 1년 전에는 이 대표와 동률을 기록했다가 대선 두 달 전 뒤처졌고, 다시 지지율을 반등시켜 대선에서 승리한 경우다.
과거 대선에선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여야가 각각 후보 교통 정리가 되지 않아 60일 전까지도 다자 구도로 여론조사가 진행된 일이 있었다. 이에 여론조사 1~2위 모두 야권인 때도 있었다. 16대 대선에선 이회창·정몽준 후보가, 19대 땐 문재인·안희정 후보가 이에 해당하는 경우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제19대 대선)도 장미가 피는 5월 9일 치러져 '장미 대선'으로 불린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6월 3일을 유력한 선거일로 점친다.
◇ 李 압도적 1위…정권 교체론 민심도 높아
한국갤럽이 1~3일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전화 조사원 방식, 응답률 13.7%,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물은 결과, 이 대표가 34%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등 순이었다. 현재 이 대표는 작난 9월부터 내내 오차범위 밖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 중이다. 갤럽 외에도 대부분 주요 여론조사에서 이 대표는 차기 대권 1위로 거명된다.이주 갤럽조사에서 다음 대통령선거 결과 기대를 물은 결과 정권 유지론은 37%, 정권 교체론은 52%로 집계됐다. 역시 이 대표나 민주당에게 유리한 지표다. 최근 투표율이 높아지는 대선 흐름에서 대권 향배를 가른 중도층이 모두 이 대표와 정권 교체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기도 하다.
기사에 언급된 여론조사와 관련해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하면 된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