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에 "경영자금 좀"…가전·디스플레이 긴급 회의

산업부, 릴레이 긴급 대책회의
美 관세 관련 5개 업종 영향 점검
지난 3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던진 '관세 폭탄'이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업종 주요 기업들과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업종 주요 기업과 긴급 릴레이 대책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날과 오는 7일 총 이틀에 걸쳐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 등 5개 업종 주요 기업과 릴레이 회의를 갖는다.

이번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철강,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의약품 등은 제외됐다.

릴레이 대책회의는 대미 수출 상위 업종 가운데 상호 관세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5개 업종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날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업종과의 대책회의에선 기업들이 상호 관세로 대미 수출 감소 등 직접적 피해에 관한 우려가 공유됐다. 베트남·태국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제품이 대미 수출 과정에서 피해를 입고 제3국 시장에서 경쟁이 격화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논의됐다.

기업들은 수출바우처, 긴급경영자금 등 정부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는 오는 7일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 업종과 대책회의를 이어간다.

이 실장은 "업종별 상호 관세의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서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이번 미국 관세 조치를 계기로 우리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