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세론'이냐, 국힘 '컨벤션 효과'냐…60일 조기 대선 레이스
입력
수정
지면A5
대선 본격화
민주 '이젠 정권교체' vs 국힘 '反이재명 결집'
이재명, 지지율 34% 1위 독주
최대 걸림돌 사법 리스크 줄어
민주당 '新 3김' 대안론 힘 잃어
'탄핵 책임론' 국힘, 불리한 상황
김문수·홍준표·오세훈·한동훈 등
다자 경쟁으로 경선 흥행 노려
◇민주 ‘부동의 1위’ 이재명 지지율
지난 대선 이후 줄곧 20%대이던 이 대표 지지율은 ‘12·3 비상계엄’ 사태 때 37%까지 올라갔다. 이후 지금까지 30%대 중후반을 유지하며 ‘이재명 대세론’을 굳히고 있다. 1심에서 피선거권 박탈형인 징역형(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2심에서 전부 무죄로 바뀌면서 사법 리스크도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1심에서 무죄가 나온 위증교사 사건 2심 결심 공판이 6월 3일이지만, 선고는 대선 이후 내려진다.
이 대표의 대선 가도에 최대 걸림돌이던 사법 리스크가 줄어들면서 비명(비이재명)계 일각의 대안론은 힘을 잃은 모습이다. 야권 관계자는 “선거법 2심이 완전 무죄로 나와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 어렵게 됐다”고 했다. 김동연 김경수 김부겸 등 이른바 ‘신(新)3김’이 있지만 조만간 이뤄질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들이 이 대표를 꺾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시각이 많다. 일부에선 당내 대선 경선 무용론까지 나온다. 민주당은 본선에서 ‘국민의힘=내란세력’ 프레임과 함께 ‘성장’을 대선 캠페인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 대세론에 변수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그에게 반감이 있는 야권 지지자와 중도진보 유권자들이 투표장으로 가지 않거나 ‘합리적 보수’ 기치를 내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게 표를 던질 가능성이 있다. 한 전문가는 “계엄 국면에서도 민주당 정당 지지율이 국민의힘보다 낮은 적이 있었다”며 “이 대표 일극체제의 민주당에 대한 부정적 신호”라고 했다.
◇국힘 ‘반명 여론’ 활용해 반전 모색
자신들이 배출한 대통령이 탄핵된 국민의힘은 불리한 입장에서 대선을 치를 수밖에 없다. 비상계엄을 막지 못한 여당 ‘책임론’도 표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이 대표가 선거법 2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조기 대선 구도에서 우리가 훨씬 더 불리해진 게 사실”이라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전까지 드러내놓고 대선을 언급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공약 마련 등 선거 준비 측면에서도 민주당에 훨씬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다.반전을 모색할 수 있는 건 일단 컨벤션 효과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다자 경쟁으로 흘러갈 공산이 큰 만큼 짧은 기간 여론 집중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다. 여기에 반이재명 세력 결집이 더해지면 극적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있다. 한 잠재적 대권주자는 “사실상 이재명 1인 후보인 민주당과 달리 여러 후보가 나와 치열하게 경선을 치르면 국민 이목이 집중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의원총회에서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키고 가꿔온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찬탄(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으로 갈라진 보수 세력의 결집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과 선을 긋고 중도층에 호소할 후보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과 탄핵 이후 지지층 결집 효과를 노리기 위해 여전히 ‘윤심’을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날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공개적으로 대통령 탄핵을 찬성한 의원들에 대해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여권 관계자는 “보수세력 내에 균열이 있는 채로 선거를 치르면 필패할 것”이라고 했다.
한재영/정소람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