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갑호비상' 발령…2만명 투입해 폭력 사태 차단

서울 도심 주요 지역 특별 범죄예방강화구역 설정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거리에 경찰이 차벽을 세워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0시를 기해 경찰이 경찰력 100%를 동원할 수 있는 '갑호비상'을 전국에 발령했다.

경찰에 따르면 갑호비상은 치안 사태가 악화하는 등 비상 상황 시 발령하는 경찰 비상 업무 체제로, 연가 사용이 중지된다.

경찰은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채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약 2만명이 동원되고, 그중 210개 부대 소속 1만4000명은 서울에 집중적으로 배치된다.

경찰은 안전 확보를 위해 헌법재판소 반경 150m에 차단선을 구축했다. 당초 100m 구역으로 설정할 계획이었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추가로 공간을 확보했다.

경찰은 추후 상황을 고려해 헌재 반경 300m까지 차벽을 치고 안국역 일대인 찬반 집회 구역 사이 완충지대를 형성할 예정이다.
서울 헌법재판소에서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집회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종로·광화문·을지로 등 서울 도심 주요 지역은 특별 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한다.

이 지역에 경찰 1500명을 배치하고 총경급 8명이 각자 구역을 나눠 치안을 유지하는 권역별 책임 치안을 실시한다. 분신에 대비해 경찰은 각자 개인용 소화기를 1개씩 지참하고 순찰차에도 소화포 194개를 배치했다.

헌재 재판관 신변 보호를 위한 경호팀을 배치하고 전담팀을 통해 취재기자 보호에도 나선다.

폭력 집회와 헌재 난입 가능성을 고려해 유튜버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경찰은 "불법 사항을 발견할 시 즉시 제지 가능하도록 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 당시 탄핵 반대 집회가 격화하며 폭력시위로 변질됐다. 경찰이 진압에 나섰지만 파면 선고 이후 7시간 40분 만에야 집회가 해산됐고, 현장에 있던 시민 4명이 사고로 사망했다.

경찰은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에 벌어졌던 '대혼돈'의 상황을 참고해 경비 대책을 준비해 왔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