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 입고 방독면 쓴 집회 참가자들…헌재 앞 '초긴장' [현장+]
입력
수정
헌법재판소·尹 관저 일대 가보니
경찰버스 차벽 통제로 '진공상태'

경찰은 이날 전국에 기동대 338개, 부대 2만여명을 배치했다. 헌재가 있는 종로구 일대는 기동대 110여개 부대 7000여명이 지키고 있고, 대통령 관저가 있는 한남동과 국회가 있는 여의도에는 각각 30여개 부대 2000여명, 20여개 부대 1300여명이 자리를 잡았다.
일대 안전을 위해 헌재와 가까운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이날 첫 차부터 무정차 통과를 시행했고, 종로3가역도 헌재와 인접한 4·5번 출구는 폐쇄된 상태다. 아울러 헌재 반경 150m가 경찰버스와 차 벽 등으로 통제돼 '진공상태'다.


경찰들 역시 소화기를 준비하거나, 보호복을 갖춰 입으며 혹시 모를 폭력 사태에 대비하고 있었다. 무릎·급소 등 부위에 보호 장구를 착용하던 한 경찰은 "집회 참가자들의 폭력에 노출될 수 있어 착용한다"며 "평소에는 입지 않고, 대규모 집회 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만 갖춘다"고 했다.
한남동 일대에 배치된 경찰들은 이날 오전 6시부터 관저 주변을 통제하며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관저 앞은 접근 금지 구역으로 지정됐고, 도로 곳곳에는 차단선이 설치됐다.
반면 윤 대통령 파면 촉구 집회에 참석한 30대 황모씨는 "계엄을 운운한 대통령은 반드시 처벌받아야 한다. 8:0 인용을 확신한다"고 했다. 50대 김모씨는 "7:1 인용이 유력하다"며 "기각된다면 헌재의 존재 이유가 없다"고 했다.
한편, 악화 일로를 걷는 정치 양극화에 따라 헌재의 이날 선고 이후에도 극한 갈등이 연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 여부에 따라 이날 광장에 결집한 여야 지지자들이 극렬하게 반발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경찰이 최고 단계 비상근무 체제를 발령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치권의 타협이 먼저 이뤄져야 유권자들의 혼란도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정치 양극화라고 하는 보수, 진보 진영 간 대결 구도가 고질적 난제가 돼버렸다"며 "정치인의 타협하는 자세가 선행돼야 분열된 유권자들이 냉정을 찾고 통합도 가능하다"고 했다.
홍민성/유지희/이민형 한경닷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