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손익 4년 만에 적자전환…손해율 악화
입력
수정
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2024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원수보험료)은 20조6641억원으로, 전년(21조484억원) 대비 1.8% 감소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보험손익은 97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 전환했다. 보험료 수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사고 건수 증가 등으로 손해액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의 상생 금융 압박에 2022년부터 4년 연속 보험료를 인하하고 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3.8%로 전년 80.7% 대비 3.1%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보험사가 보험료를 운용하며 얻은 투자손익은 지난해 5988억원 흑자를 기록하면서 자동차보험 총손익(보험손익+투자손익)은 5891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을 보면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대형 4사의 점유율이 85.3%를 기록했다. 메리츠화재·한화손해보험 등 중소형사 비중은 8.3%, 캐롯손해보험·악사손해보험 등 비대면 전문사의 점유율은 6.4%로 집계됐다.
판매 채널별로 살펴보면 대면 판매 비중이 4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CM(온라인) 35.8% △TM(텔레마케팅) 16.0% △PM(플랫폼) 0.4%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보험료 인하 효과가 누적된 데다 올해 정비공임 인상(2.7%) 등의 요인으로 손해율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2월 발표된 자동차보험 부정수급 개선대책이 안착하도록 약관개정 등 후속 조치를 추진하고 손해율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