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부터 대학 등록금까지 다 올랐다…교육물가, 금융위기 후 최대↑
입력
수정
대학교·대학원 등록금 물가 상승 단초
유치원비 9년 만에 최대 폭 상승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이는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교육 물가는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로 전체 소비자물가를 0.21%포인트 끌어 올리는 효과를 냈다. 3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1%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 꼽힌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11곳(28.2%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 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랐다. 2009년 2월 7.1%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울산·경남이 5.6%로 가장 높았고, 서울·인천·경기가 5.5%로 뒤를 이었다. 전남·전북·광주(3.7%). 제주는 0.1%로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국공립대납입금은 1%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공립대납입금은 2022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36개월 동안 상승률이 0%였다가 지난달 처음 올랐다.
국공립대납입금은 서울·인천·경기(1.6%), 대구·경북(0.4%) 외 나머지 시도에서는 오르지 않았다.
사립대학원 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 납입금은 2.3% 올랐다. 이 역시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3월 전문대학 납입금도 3.9% 상승했다. 2009년 2월 7.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유치원 납입금 상승률은 4.3%다.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유치원 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유치원납입금은 지역별로 학비 지원 정책 차이 등에 따른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24.3%),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서울(5.0%) 등에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울산시교육청의 사립유치원 무상 정책 영향으로 울산 유치원 납입금 물가는 작년 대비 74.3% 하락했다.
충북(-5.7%)과 광주(-0.4%)에서도 내렸고 세종·충남·전북은 상승률이 0%였다.
가정학습지 물가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1.1%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1996년 12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러닝 이용료는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9.4% 상승률을 나타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5년 1월 이후 최대폭 상승률이 계속되고 있다.
3월 초등학생학원비(2.0%)·중학생학원비(1.2%)·고등학생학원비(1.0%)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2.1%)보다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음악학원비(2.2%)·미술학원비(2.9%)·운동학원비(3.9%)는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은 향후 물가 불안의 뇌관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년간 이어진 각 대학의 등록금 동결 기조가 무너진 만큼 인상 대열에 합류하지 않은 사립대학은 물론 다수 국공립대학의 연쇄 인상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인상은 내년 2월까지 매달 전년 대비 전체 물가에 상승 기여로 반영된다"며 "전례 상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2학기에 등록금을 올릴 경우 그만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