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330만원? 빨리 사두자"…소비자들 난리난 까닭

美소비자들 "관세 적용 전에 사두자"…몰려드는 '관세 난민'

美 관세 탓 전자제품 가격 인상 우려
소비자 38% "가격 인상 전 구매 압박"
휴대폰·노트북, 이미 샀거나 구매 예정
IDC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감소 전망"
소비자가격 상승 전망…트럼프 "버텨라"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가 적용되기 전 조금이라도 싼 값에 수입 가전을 구매하려는 '관세 난민'으로 내몰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이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자 이를 피해 미리 제품을 사두겠단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美, '관세 폭탄'에 스마트폰·가전 가격 급등 우려

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주요 전자제품 수입국들 대상으로 20~30%대 상호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 오는 9일 25% 관세를 적용받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34%), 대만(32%) 등은 미국에 전자제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들로 꼽힌다.

삼성전자·LG전자의 경우 스마트폰과 TV 등 각종 가전의 일부 물량을 베트남·태국·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해 왔다. 베트남과 태국은 각각 46%, 36%씩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중국에서 아이폰 전체 물량 중 90%를 생산하는 애플도 비상이다. 로젠블래트증권 분석가들은 이번 상호 관세로 아이폰16 프로 맥스 가격이 1TB(테라바이트) 기준 2300달러(약 336만원)로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미국 내에서도 스마트폰·가전 등 전자제품 가격 급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현지 매체들은 해외 생산 비중이 큰 아이폰과 생활가전 가격 인상을 전망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이 불가피, 인플레이션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함께 내놨다.

앞서 중국산 수입품을 대상으로 관세 20%를 부과한 이후 노트북, TV, 게임 콘솔 등의 가격이 이미 인상되고 있다는 것이다.

"가격 오르기 전에 사자"…관세 피해 가전 구입

그러자 미국 소비자들은 관세가 제품 가격에 본격 반영되기 전에 전자제품을 미리 구매하려 하고 있다.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씨넷이 지난달 3~5일 성인 2305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8%는 관세로 가격이 인상되기 전에 전자제품을 구매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인상 전 고가 전자제품을 구매했거나 사들일 계획이라는 응답자는 약 20~40%였다. 품목별로 보면 스마트폰을 미리 구매했거나 구매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48%(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트북·PC 42%, 가전 39%, TV 35%, 스마트홈 기기 32%, 태블릿PC 31%, 웨어러블 기기 28%, 게임 콘솔 27% 순이었다.

관세가 적용된 이후엔 할인 행사 등을 노려 고가 제품을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27%는 500달러 이상 고가 제품 구매를 미루고 있었는데 이들 중 18%는 연중 할인 행사 시간을 이용해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당초 올해 PC 판매량이 전년 대비 3.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올해 2월 관세 리스크를 경고하면서 예측에서 하향 조정해 PC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테시 우브라니 IDC 리서치 매니저는 당시 "미국의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과 수요 감소가 합쳐져 가장 큰 PC 시장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는 "버텨라"…미국 가정 '물가 상승' 전망

미국소매연맹은 상호관세 탓에 소비자가격 상승이 초래되고 소비자 신뢰가 떨어질 경우 소비경기 둔화가 가속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당장은 관세 전쟁이 계속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이것은 경제 혁명으로 우리는 이길 것"이라며 "버텨내라, 쉽지 않겠지만 마지막 결과는 역사적일 것"이라고 했다.

미국 싱크탱크 케이토연구소 경제·무역 담당 부사장 스콧 린시컴과 무역 전문가 콜린 그래보는 현지 매체를 통해 "이 엄청난 관세는 필연적으로 미국 가정의 물가 상승, 성장·기업 투자 감소, 해외 보복에 직면한 국내 공장, 더 비싼 투입물(모든 수입품의 약 절반)로 인한 수출·제조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