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내 집 마련 문턱…장기임대주택 '주거 사다리' 부상
입력
수정
최대 10년간 이사 걱정 없이 거주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3.3㎡당 분양가는 1901만79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7.4%(131만100원)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같은 기간 16.92%(639만8700원) 오른 4420만6800원에 달했다.
분양가상한제에 적용되는 기본형건축비도 상승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간접공사비, 노무비 등 영향으로 기본형건축비(16~25층 이하, 전용면적 60~85㎡ 지상층 기준)가 직전 고시된 ㎡당 210만6000원에서 214만원으로 1.61% 상승했다고 밝혔다.
오는 6월부터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5등급 인증도 의무화된다.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가 시행되면 단열재, 고성능 창호, 태양광 설비 등을 도입해야 하기에 분양가가 한층 오르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 증가 폭을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원 수준으로 예상하지만, 건설업계는 최소 300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대출 규제 강화도 내 집 마련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금융당국은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스트레스 DSR은 추가 금리인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방식이다. 연봉 1억원인 차주가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30년 만기·분할 상환)을 받는다면 현재는 최대 6억400만원까지 신청할 수 있지만, 오는 7월 3단계 시행 후에는 5억5600만원으로 줄어든다.
분양가는 오르고 대출은 어려워지면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은 한층 험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대 10년간 이사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준비할 수 있는 장기임대주택이 대안으로 떠오르는 추세다. 장기임대주택은 임대료 상승 폭이 제한돼 주변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에 거주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주거 안정을 원하는 가구에 장기임대주택은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며 "주택을 구매할 여력이 부족하거나, 분양가 상승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장기임대주택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