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처지면 버린다"…車·철강까지 과감한 구조조정 나선 中 [클릭 차이나]
입력
수정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산업 효율성 향상 가속화
통폐합, 시스템 전환으로 통상 전쟁 타격에 대응

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국유 자동차 기업인 충칭 창안과 둥펑의 경영 통합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 창안과 둥펑이 경영 통합의 구체적인 사항 관련 협의를 마쳤으며, 이런 내용은 각각 합작하고 있는 외국 자동차 기업에 전달됐다. 창안은 미국 포드·일본 마쓰다와 합작하고 있으며, 둥펑은 일본 혼다·닛산과 합작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국 자동차 산업이 치열한 내부 경쟁으로 시장 혼란과 생산 능력 저하를 겪고 있다고 봤다. 일부 기업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손실까지 감수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업계 기술 혁신과 제품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판단이다.
실제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는 올 들어 완성차를 생산하는 국유 기업을 전략적으로 재편해 산업 집중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산재해 있는 연구개발(R&D), 제조, 마케팅을 통합해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자주적인 핵심 기술을 갖춘 세계적인 자동차 그룹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중국 현지 업계에선 앞으로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향후 10년간 비야디(BYD)와 지리자동차 등 두 곳의 민간 기업과 국유 기업과 민간 기업을 포함한 나머지 5개 기업 위주로 자동차 업계가 재편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중국엔 120여개 전기차 브랜드를 포함해 180여개의 완성차 브랜드가 있다.

철강 업계에선 올해부터 철강 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5000만톤(t)의 감산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량 감축으로 난립한 기업들이 정리되고, 디지털화·로봇화로 산업 시스템이 재정비될 것이란 관측이다.
가전 산업은 해외 기업 인수로 위기를 타개하려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까지 나서서 기업들의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를 장려하고 있다. 청소기 기업 쑤저우알톤은 최근 독일 기업 프로덕티어스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해외 자원과 기술 확보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려는 시도다.
이처럼 중국 정부가 산업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는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중국의 성장 전망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라서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서만 미국은 중국에 추가로 54%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같은 조치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에 1%포인트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통상 전쟁 타격을 상쇄하기 위해 국내 소비 회복과 함께 산업 구조조정에 힘을 싣고 있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