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산불 복구대책' 본격 착수…"주거 안정이 최우선"

130여명 규모 합동조사단 꾸려
일주일 간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 실시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산불 피해 복구계획 수립을 위한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산불 피해 복구계획 수립을 위한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정부가 오늘부터 일주일 동안 산불 피해 지역에 130여명 규모의 합동 조사단을 꾸려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를 실시하는 등 본격적인 산불 피해 복구작업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9일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 주재로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2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각 부처의 복구대책을 조율 및 부처 간 협조 과제들을 집중 점검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1일부터 경북·경남·울산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피해가 속출했다. 정부는 지난 3일 1차 회의를 열고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과 지역 재건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협조 사항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안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산림청 △국가유산청 등 관계 부처와 울산 울주군,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경남 하동·산청 등 피해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이재민의 주거 안정’을 복구대책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또 산림·도시계획·건축 구조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와 공무원 등 9개 부처 소속 130여 명 규모의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도 꾸려졌다. 이날부터 1주일간 산불 피해 지역에 투입돼 현장 실태를 면밀히 조사하고, 향후 복구 예산 및 정책 수립에 활용할 구체적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이한경 중대본 차장은 “이번 산불로 생활 터전을 잃은 피해 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안정을 찾고, 지역사회가 다시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모든 기관이 책임감을 갖고 복구 작업에 임해달라”며 “부처 간 긴밀한 협업과 현장 중심의 복구 지원을 통해 피해 지역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앞서 울산, 경북, 경남 등의 8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또 행안부를 중심으로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운영해 원스톱 민원처리, 구호물자 지원, 재정·세제·심리지원 등을 병행하고 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