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대선·개헌 동시투표론 사흘만 철회…"대선 후 논의" [종합]

우 의장 9일 본인의 페이스북 통해 입장 밝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9일 사흘 전 제안했던 '대선·개헌 동시 투표' 구상을 철회했다.

우 의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적 공감대에 기초한 제 정당의 합의로 대선 이후 본격 논의를 이어가자"며 "현 상황에서는 대선 동시 투표 개헌이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6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일에 맞춰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실시하자고 제안한 바 있으나 더불어민주당의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특히 오늘 사퇴를 표명한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제안 다음 날인 7일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장은 민주주의의 파괴를 막는 것이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우 의장은 이날 글에서 "위헌·불법 비상계엄 단죄에 당력을 모아온 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이 당장은 개헌 논의보다 정국 수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며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개헌이 국회 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이라면 사실상 합의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자신의 권한을 벗어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지명해 국회를 무시하고, 정국을 혼란에 빠뜨려 안정적 개헌 논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제안에 선행됐던 국회 원내 각 정당 지도부와 공감대에 변수가 발생했다"며 "현재로선 제기된 우려를 충분히 수용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며, 향후 다시 각 정당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조기 대선은 헌정 회복과 국정 안정을 위한 헌법 절차"라며 "12·3 비상계엄이 파괴한 민주주의와 헌정질서에 대한 새로운 합의를 만들어야 한다. 이 합의의 내용, 개헌의 골자를 각 정당 대선주자가 공약으로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제안이 내각제 개헌과 다름없다는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 "저는 내각제 개헌을 주장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우 의장은 "지난 제안에서도 4년 중임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강조했다"며 "대통령제는 6월 민주항쟁의 결실로, 이를 버리는 내각제는 국민적 동의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떤 이유로 저의 개헌 제안이 내각제 개헌으로 규정됐는지는 알 수 없다. 매우 유감스러운 일로, 합리적 토론을 위축시키고 봉쇄하는 선동"이라며 "경청·존중·조율하고 조정하려는 노력 없이는 정치가 회복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