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결국 밀렸다…SK하이닉스, D램 매출 점유율 1위
입력
수정
카운터포인트, 1분기 D램 시장 조사
SK하이닉스, 매출액 점유율 기준 1위
D램 매출 사상 처음 삼성전자 제쳐

9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 1분기 D램 시장에서 매출액 기준으로 점유율 36%를 기록해 선두를 달렸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매출 1위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점유율 34%로 SK하이닉스보다 2%포인트 낮았다. 마이크론은 25%로 삼성전자 뒤를 이었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 책임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SK하이닉스가 HBM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끊이지 않는 시장에서 D램을 성공적으로 공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며 "특화된 HBM D램 칩의 제조는 매우 까다로운 과정이었지만 이를 초기부터 성공적으로 생산해온 기업들이 이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올 2분기에도 D램 시장 내 업체별 점유율은 1분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황민성 카운터포인트 연구위원은 "전세계가 관세의 영향에 주목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건은 'HBM D램이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점"이라며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AI 수요가 강세를 유지하면서 관세 충격의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중요한 것은 HBM의 최종 제품이 AI 서버라는 사실"이라며 "이는 본질적으로 국경을 넘어선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HBM D램 시장의 성장이 관세 충격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이 카운터포인트의 분석이다. 카운터포인트는 "경기 침체 또는 불황까지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SK하이닉스 HBM 사업 성장을 이끈 핵심 인물로 꼽히는 최준용 HBM사업기획 부사장은 최 자사 뉴스룸을 통해 "올해 HBM4 12단 양산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고객 요구에 맞춰 HBM4E도 적기에 공급해 HBM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시장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최적화된 사업 기획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