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가 구조조정에만 혈안? 오해다"
입력
수정
지면A18
홈플러스 사태로 PEF 여론 악화조지프 배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사모펀드(PEF)는 좋은 기업을 위대한 기업으로 만드는 게 존재 이유”라고 강조했다. 홈플러스의 기습 법정관리행으로 PEF에 대한 여론이 악화했으나 오해가 많다고 해명했다. 홈플러스 대주주는 국내 최대 PEF인 MBK파트너스다.
배 CEO "기업가치 높이는 역할"
그는 “흔히 PEF가 인력 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에 매몰돼 있다고 여기지만 단순한 비용 절감만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겠느냐”며 “연구개발(R&D)과 인재에 투자할 수 있도록 장기 자본을 제공하는 게 바로 PEF”라고 말했다.
KKR도 마찬가지다. 10여 년 전부터는 투자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일부 지분을 무상 제공하는 ‘직원 지분 참여 프로그램’(ESOPs)을 시행하고 있다. 임직원 동기 부여를 강화하려는 포석이다. 대표적인 곳이 미국 산업용 장비회사 잉가솔랜드다. KKR이 이곳에서 일하는 직원 1만6000여 명 모두에게 지분을 나눠주자 자발적 퇴사율이 80% 이상 감소했다. 직원들은 총 5억달러 이상 수익을 냈다. KKR 역시 성공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한 건 물론이다.
KKR은 일본 제약사 부슈파마슈티컬스, 호주의 환경 관련 플랫폼업체 그린칼라 인수 후에도 이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2023년 그린칼라 매각 때는 모든 직원이 평균 20만호주달러(약 1억7700만원)씩 현금을 손에 쥘 수 있었다.
배 CEO는 KKR이 한국에서 적극 영역을 넓히고 있는 크레디트 펀드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다고 했다. KKR의 크레디트 펀드는 과거 태영그룹, SK그룹 등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높은 금리와 담보 설정으로 구설에 오른 적이 있다. 그는 “크레디트 펀드는 시중은행 등 금융권에서 신규 대출을 내주기 꺼리는 기업들에는 전략적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단기 수익만 추구하는 게 아니라 기업 구조 개선과 안정적 성장을 목표로 책임 있는 자본 제공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