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선·LNG·무역균형' 패키지로 美 관세협상 나선다
입력
수정
지면A3
25% 관세율 인하 최우선 목표정부가 미국이 부과한 25% 상호관세율을 낮추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조선·액화천연가스(LNG)·무역균형 등을 패키지로 해 미국과 관세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다만 방위비는 패키지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방위비 포함 여부엔 말 아껴
韓美 '北 완전한 비핵화' 공감
韓대행 "경제동맹 더 튼튼하게"
9일 국무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통화 내용을 설명하면서다.
이 관계자는 “(통화에서) 우리가 먼저 LNG 투자와 조선업 협력을 이야기했다”며 “투자·구매·조선업 협력 등을 포함해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무역균형을 이루는 것을 생각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협상을 통해) 관세를 조정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했다.
방위비가 패키지 협상 대상이 될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관계자는 “방위비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야기한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로 협상하자고 제안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방위비 분담금을 더 내더라도 관세를 낮추는 것을 검토하는가’라는 질의에는 “지금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관세와 방위비가 패키지라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조선·LNG·무역균형 등 경제통상 관계가 패키지로 엮여서 관세와 협상이 된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한 권한대행과 통화한 이후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우리가 한국에 제공한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지불을 논의했다”며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위한 재협상을 시사했다.
한 권한대행이 전날 CNN 인터뷰에서 중국 일본과 연대해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대응하지 않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서는 “중국 일본과 연대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맞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북핵과 관련해 어떤 대화가 오갔느냐는 질문에는 “완전한 비핵화에 공감했다”고 답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언급했는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어려울 때일수록 한·미 동맹을 안보 동맹이자 경제 동맹으로서 더욱 튼튼하게 격상시켜 나가는 것이 보다 슬기로운 해법”이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