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개발사 인기 시들해졌나…글로벌 VC 투자, 산업 특화 AI로

허사비스의 신약 설계업체
초기 AI社 중 투자금 유치 1위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가 설립한 이소모픽랩스가 초기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중 올 1분기 가장 많은 돈(6억달러, 약 8900억원)을 투자받은 업체에 올랐다. 이소모픽랩스는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 ‘알파폴드’로 신약 설계 엔진을 개발 중이다.

9일 글로벌 스타트업 분석 서비스 시비인사이츠에 따르면 올 1분기 1억달러 이상 투자금을 유치한 초기(시드~시리즈A) AI 스타트업은 8개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시비인사이츠는 “범용 AI 모델 개발업체 대신 AI로 특정 산업이나 기술 문제를 해결하려는 유망 AI 스타트업에 투자금이 몰렸다”고 설명했다. 2022~2024년엔 오픈AI, 앤스로픽, 코히어, xAI 등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사가 글로벌 투자금을 쓸어 담았다.

분야별로는 AI 에이전트 개발업체가 세 개로 가장 많았다. 1억1000만달러를 확보한 엔드리스는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리플렉션AI(1억500만달러)와 메인펀크(1억달러)는 각각 코딩 전문 에이전트와 검색 전문 에이전트를 제작하고 있다. AI 로봇 분야에선 앱트로닉이 구글, 메르세데스벤츠 등에서 4억3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더봇컴퍼니(1억5000만달러)는 가정용 로봇을 개발 중이다.

벤처캐피털(VC)업계 관계자는 “앤스로픽, 오픈AI 등을 초기에 발굴한 라이트스피드벤처파트너스, 세쿼이아캐피털, 앤드리슨호로위츠 등 글로벌 대형 VC의 투자 흐름이 바뀌고 있다”며 “로봇, AI 에이전트 등 산업 현장의 구체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업에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