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창작발레의 거장' M발레단 문병남 예술감독 별세

9일 타계한 고 문병남 예술감독
9일 타계한 고 문병남 예술감독
한국 발레계의 거장 문병남 M발레단 예술감독이 9일 별세했다.

문 감독은 1984년 국립발레단에 입단하여 10년간 주역무용수로 활동하며 한국발레의 첫 전성기를 연 발레예술가로, 이후 국립발레단의 지도위원, 상임안무가, 부예술감독을 역임하여 한국발레의 터전을 닦으며 발레계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고인은 국립발레단의 부예술감독 시절 2009년 국가브랜드사업 1호 작품 '왕자호동'의 안무를 맡아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적 전막발레를 완성한 안무가다. '왕자호동'은 2011년 이탈리아 산 카를로스 극장에서 열린 국제 댄스 페스티벌에 개막작으로 초청되어 한국인 최초로 세계무대에 진출한 전막발레작품을 만드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는 2000년대에 들어 해외 라이센스 발레작품 수입에만 의존해 온 국립발레단의 정책에 한국창작발레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주요한 역할을 했다.

문 감독은 2015년 M발레단을 창단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대표 창작발레작품들을 탄생시켰을 뿐 아니라, 클래식 발레작품들을 우리만의 프로덕션으로 완성해 나가는 업적을 이뤘다.

특히 그의 대표안무작 중 하나인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은 2015년 무용창작산실 우수작품제작지원 선정작으로 초연 후, 2021년 예술의전당 창작발레로 공동 재제작됐고, 2022년 제12회 대한민국발레축제 개막작으로 선정돼 연속 매진행렬을 달성했다. 2023년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유통협력지원사업 선정공연으로 수도권과 충북지역에서 총 8회 공연을 올리며 예술성과 대중적 인기를 겸비한 창작발레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그 성과를 인정받아 2024년 국가보훈부 후원공연, 2025년 '광복 80주년, 안중근의사 순국115주기, 창작 10주년' 공연으로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무대에 다시 한번 오르며 또 한 번의 매진행렬을 달성했다.

고인의 별세 소식에 예술계는 깊은 애도를 표하고 있다. 고인의 주요 작품으로는 '왕자호동',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 '오월바람', '처용', 그리고 '돈키호테' 등이 있다. 주요 수상 경력은 1987년 ‘86 아시안게임 기념 문화부장관상, 1988년 ’88년 서울올림픽 기념 문화체육부장관상, 1992년 국립발레단 창립 30주년 공로상, '2018년 (사)한국발레협회상 대상, 2018년 서울문화투데이 제9회 문화대상 등이 있다.

빈소는 중앙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호실에 마련되며, 한국발레인·국립발레단 장으로 진행된다. 발인은 11일이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