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 늘어가는 서울 오피스…2년 9개월 만에 3%대 진입
입력
수정
공실률 가장 높은 곳은 강남권역…3.4%

10일 부동산플래닛이 발표한 2월 서울 오피스 임대 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빌딩 평균 공실률은 전월 2.83%에서 0.23%포인트(p) 오른 3.06%로 나타났다.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3%를 넘은 것은 2022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주요 오피스 권역별로 보면 강남권역(GBD)이 3.4%로 가장 높았다. 종로와 광화문을 포함하는 도심권역(CBD)은 3.04%, 여의도권역(YBD)은 2.41%로 나타났다.
GBD 공실률은 지난해 2월 1.72%였던 것에 비해 1년 새 2배 상승했다. 특히 GBD 내에서도 중형빌딩(2000평 이상~5000평 미만)의 공실률이 4.44%로 가장 높았다.
중대형빌딩(5000평 이상~1만평 미만) 공실률도 4.19%로 높게 나타났고, 소형빌딩(2000평 미만)이 3.49%로 뒤를 이었다. 프리미엄 빌딩(2만평 이상)과 대형빌딩(1만평~2만평) 공실률은 각각 1.44%, 1.96%로 낮게 나타났다.
CBD에선 중형빌딩의 공실률이 5.32%로 가장 높았고, 소형빌딩도 5.19%로 5%를 웃돌았다. YBD 공실률도 전년 동월(1.4%) 대비 1%포인트 이상 올랐다. YBD에선 소형빌딩 공실률이 3.85%로 가장 높았다.
상업용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사무실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거나 면적을 줄이면서 공실률이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오피스 임대차 시장 관계자는 "최근 강남권 IT분야 스타트업들이 문을 닫거나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 건물로 옮기는 추세"라며 "경기 침체 영향이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잘나가는 회사는 프리미엄 빌딩을 찾고, 경영이 어려운 회사는 싼 지역이나 소형 건물로 옮겨가며 중간 규모 오피스에서 공실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