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대응 어떻게 하나"…팹리스-파운드리 머리 맞대

10일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제7회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산업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10일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제7회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산업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가 10일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제7회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엔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국내 파운드리 4개사(DB하이텍, 삼성전자 파운드리, SK하이닉스, SK키파운드리), 서울대, 창업진흥원 관계자가 참석했다.

상생협의회는 국내 팹리스와 시스템반도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기부 주관으로 팹리스 업계와 파운드리가 참여하는 정례적인 소통 채널이다. 중소 팹리스의 애로를 해결하고 협력 방안을 정책으로 반영하기 위해 2022년에 발족해 올해 7회를 맞았다.

상생협의회를 통해 팹리스와 파운드리가 협력해 유망 팹리스 스타트업에 시제품 제작 공정(MPW)을 제작하는 ‘팹리스 챌린지’를 3회 추진했다. 지난해 논의된 팹리스 스타트업 단계별 지원 방안을 올해 ‘팹리스 스타트업 일관지원 사업’으로 신설하는 등 현장의 의견이 정책으로 반영되어 왔다.

이번 상생협의회에선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 류수정 교수가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산업 동향 및 주요 이슈’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각 기관별로 ‘2025 팹리스 챌린지’ 세부 추진계획, 팹리스 협회와 파운드리 주요 업무 추진 계획, 팹리스 실태조사 용역 계획 등의 안건을 발표했다.

발표 이후 안건에 대한 세부 토의와 함께 최근 미국에서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등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생태계의 전략적 대응 및 협력 방안도 논의됐다.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최근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반도체에 대한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전체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한 시기"라면서 "중기부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기업의 상생 협업을 기반으로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와 글로벌 위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