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중·러와 결별한 시리아와 정식 수교
입력
수정
조태열 외교부 장관 시리아 방문
아메드 알샤라 대통령과도 면담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태열 장관은 대표단을 이끌고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방문해 아스아드 알 샤이바니 외교장관과 면담한 후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양국은 상호 상주 공관 개설 등 수교 후속 조치를 적극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조 장관은 시리아의 국가 재건 과정에서 우리의 개발 경험을 전수할 의사를 밝히고, 제반 여건 개선시 우리 기업의 재건 활동 참여 가능성도 타진했다. 아울러 의약품, 의료기기와 쌀 등 인도적 지원 의사도 밝혔다. 알 샤이바니 외교장관은 한국의 개발 경험 공유 의사 및 인도적 지원 계획에 사의를 표하면서, 대시리아 제재 완화를 위한 한국의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향후 시리아 재건에 한국 기업 참여 등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자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리아와의 외교관계 수립은 장기간 독재를 지속한 아사드 정부의 몰락이 계기가 됐다. 아사드 정권은 자신들을 지원하던 이란과 러시아가 각각 이스라엘,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약화하면서 작년 12월 반군에 맥없이 무너졌고 아사드 전 대통령은 러시아로 망명했다.
정권을 무너뜨린 이슬람 무장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 수장인 아메드 알샤라는 과도정부 임시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알샤라는 몸담았던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과의 결별을 선언하고 실용·온건 노선을 표방하며 서방과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이 지난해 쿠바와 외교 관계를 수립한 데 이어 시리아와도 수교하면서 몇 남지 않은 북한의 우방국 네트워크를 더 약화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시리아 주재 북한대사관 외교관들은 지난해 아사드 정부가 붕괴한 직후 전원 탈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이번 시리아 수교로 남북을 제외한 유엔 회원국 191개국과 모두 수교하게 됐다.

외교부에 따르면 알샤라 대통령은 외교관계 수립을 환영하고, 새로운 시리아의 출발에 한국의 지지가 긴요하다고 하며 수교를 통해 한국과 시리아가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화답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