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승리에 도움 안 되는데…" 尹 존재감에 '난감' [정치 인사이드]

헌법재판소 파면에도 끗발 거센 尹
대선 입김에 주자들 '윤심 마케팅'
확장 전략 세워야 하는 국힘 난감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에도 거센 끗발을 날리고 있다. 국민의힘의 여러 선거를 쥐락펴락했던 尹心(윤심·윤 전 대통령 의중)은 조기 대선까지 파고드는 분위기다. 관저를 떠나 사저로 거처를 옮긴 윤 전 대통령이 강성 지지층을 등에 업고 '사저 정치'에까지 돌입할 공산이 커지면서 확장 전략을 세워야 하는 당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로부터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은 파면 당일 국민의힘 '투톱'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를 관저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대선 준비를 잘해서 꼭 승리하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파면 이후 본격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이른바 '상왕 정치'에 시동을 거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던 대목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런 관측은 현실화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5일 나경원 의원과 관저에서 만나 "나라를 위해 역할을 해달라"고 했다. 나 의원은 이어 지난 11일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6일에는 윤상현 의원과 만났다. 윤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신당 창당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지지자들 사이에서 창당 여론이 있다는 사실을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건재하다는 메시지다.

지난 9일에는 대선에 출마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윤 전 대통령이 통화에서 "잘 해보라"고 했다고 전했다. 같은 날 이철우 경북지사도 대선 출마 선언 직후 관저를 찾았다. 이 지사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사실상 이번 대선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심지어 윤 전 대통령은 강성 보수층 지지를 받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까지 관저로 불러 만나 지지층 결집 메시지를 내보냈다.
지난 9일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만난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 / 사진=전한길뉴스 캡처
지난 9일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만난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 / 사진=전한길뉴스 캡처
이처럼 윤 전 대통령은 존재감을 잃지 않으려 애쓰고 있고, 동시에 윤 전 대통령을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정치인들의 수요도 분명한 만큼, '사저·상왕 정치'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하지만 당에서는 윤 전 대통령을 안고 가는 모양새는 대선 전 중도 확장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수도권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정치 개입이 대선을 치러야 하는 당의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것은 맞다. 그렇다고 막을 수 있는 방법도 현실적으로 없다"며 "이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될 텐데, 윤 전 대통령 입장에서도 국민의힘과 민주당 중 누가 이겨야 하는지 자명하지 않나. 그렇다면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메시지를 내거나 팬덤에 기반한 행동을 하는 게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고 했다.

여권 관계자는 "최고 사법 기관이 파면한 사람을 자꾸 당에 끌어들이면 안 된다"며 "지금 시기에 윤심을 앞세우는 후보들의 의도가 의심된다. 대통령보다 당 대표에 관심이 있는 거 아닌가"라고 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의 일련의 행보가 대선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의 의견도 있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윤심 마케팅이 경선 과정에서 우리 지지층에는 영향을 끼칠 수 있겠으나, 본선에서 중도층이나 무당층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며 "일반 국민들이 보기에는 이준석을 제외한 범보수 진영 후보들은 모두 '윤석열과 운명 공동체였던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지금 당장 그들끼리 교류하고 만나는 게 중도층이나 무당층의 가치 판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윤심 마케팅이 경선 과정에서는 득이 되고 본선에서도 크게 실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셈법들을 후보들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사저 정치를 견인할 동력을 잃어 결국 후방으로 물러나게 될 것이라는 관측에는 크게 이견이 없는 분위기다. 당초 파면 직후 강성 지지층의 거센 결집이 예상된 것과 달리 파면을 결정한 헌재에 대한 부정 여론이 급속도로 쪼그라들고 있는 것이 근거로 꼽힌다.

지난 10일 공표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7일부터 9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보면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 28%가 '잘못된 판결'이라고 답했다. 같은 기관 전주 조사에서 헌재 탄핵 심판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4%에 달했는데, 16%p나 빠진 것이다.

신율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을 추종하는 세력도 그리 오래 가지 못할 것으로 본다. 문재인 전 대통령 역시 이재명 대표가 민주당을 장악하고 난 뒤 힘을 완전히 잃었다"며 "결국 권력을 따라가는 것이다. 헌재 판단이 잘못됐다는 여론조사 응답도 한 주 만에 거의 반토막이 난 것으로 보아 강성 지지층은 조만간 흩어질 것"이라고 했다.

기사에서 언급한 여론조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