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추대 들러리냐" 비명계 민주당 경선 규칙에 분노

김동연 경기도지사 캠프 대리인 고영인이 11일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대선 경선룰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동연 경기도지사 캠프 대리인 고영인이 11일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대선 경선룰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6·3 조기 대통령 선거의 당 경선 룰을 두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당원 주권 확대를 내세우는 친명(친이재명)계는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확대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비명(비이재명)계 후보들은 "들러리 서지 않겠다"며 반발하면서다.

11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 대선특별당규위원회는 전날에 이어 이날 오전 경선 룰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특별당규위 내에서는 현 '국민경선' 방식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경선 방식은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이다.

대신 특별당규위에서는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요구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경선 방식에 대해선 '일반 국민 비중이 늘어나면서 권리당원의 권리는 제한되고 역선택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민주당은 19·20대 대선에서는 국민경선 방식으로 대선을 치렀다.

특히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한 보수층의 역선택 가능성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한편 비명계 후보들은 국민참여경선 방식에 따라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게 되면 당심을 쥐고 있는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하기만 한 경선이 될 것이라면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당원 표심을 강화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당내 기류가 기울면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주장해 온 비명계 주자들인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 측은 반발했다.

김 지사 측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경선캠프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지금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기존 당규대로 하면 된다. 시간이 없다, 역선택이 우려된다는 막연한 구실로 국민경선을 파괴하려는 결과를 보인다면 김동연 캠프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보수 지지층의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도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려는 구실에 불과하다. 국민선거인단은 민주당의 자긍심이고 가치이고 역대 대통령이 만들어온 중요한 선거 제도"라며 "그동안 모든 선거 제도에 있어서 일정 부분 후유증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 가치가 크기 때문에 함부로 없애는 건 역사에 죄를 짓는 일"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두관 캠프도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체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며 "진정 독선과 독재의 길이 아니길 바랄 뿐"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위원회는 이날 오후 다시 회의를 열어 경선 룰을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 비전 등에 관한 기자회견을 마친 후 경선 룰과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에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냐"며 "합리적으로,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떠한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전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